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당정, 성폭력 대책 협의…"강간죄 성립 기준 완화 검토"

법무부가 성폭력 방지를 위해 강간죄의 성립 요건을 현행보다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오늘(10일) 오전 국회에서 성희롱·성폭력 근절대책 관련 당정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 자리에는 민주당 젠더폭력대책특위 위원들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이 참석했으며, 정부에서는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과 이금로 법무부 차관 등이 참석했습니다 여성가족위 간사인 정춘숙 의원은 간담회 후 기자들을 만나 "법무부에서 '비동의 간음죄'의 신설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동의 간음죄'란 상대방의 동의 없이 성행위를 할 경우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가해자의 폭행이나 협박이 피해자의 항거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하게 곤란하게 할 정도여야만 강간죄를 인정하는 '최협의설(最狹義說)'이 준용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범죄 성립 요건을 낮춰 처벌을 확대·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정 의원은 "법무부에서도 '최협의설에 입각한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완화할 필요가 있어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면서 "비동의 간음죄 신설까지로 이어질지는 알 수 없으나 기준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하자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최근 논란이 벌어진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 폐지에 대해 법무부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고 정 의원은 전했습니다.

그동안 여성계 일부에서는 성폭력 피해를 고발한 사람이 오히려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로 역고소를 당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이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 왔습니다.

법무부는 "이 법안을 폐지할 경우 반대로 가해자가 성폭력 내용에 대해 퍼뜨리면 이를 제재할 방안이 사라지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폈다고 정 의원은 설명했습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가해자의 사실적시 명예훼손만 처벌하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을 촉구했으나, 법무부에서는 "법률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라면서 "위법성 조각사유에 대해 수사지침으로 반영하는 것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고 정 의원은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