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항경련제, 치매 위험↑"

"항경련제, 치매 위험↑"
간질 치료에 쓰이는 항경련제가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핀란드 동부대학과 독일 신경퇴행질환센터연구팀은 발프로산 나트륨을 비롯한 항경련제가 종류에 따라 치매 위험을 15%에서 최대 60%까지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과 사이언스 데일리가 보도했습니다.

핀란드 동부대학의 하이디 타이팔레 약리학 교수는 2005부터 2011년 치매 진단을 받은 7만여명과 대조군 28만2천여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항경련제를 1년 이상 지속해서 사용한 그룹이 대조군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이 1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항경련제 중에서도 특히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약을 복용한 그룹은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20%,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이 60%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독일 신경퇴행질환센터 연구팀이 2004부터 2011년 여러 형태의 치매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 노인 2만여명과 대조군 8만천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분석에서는 항경련제 사용 그룹이 대조군보다 치매 발생률이 30% 높게 나타났습니다.

항경련제는 간질 외에 신경통, 양극성 장애, 범불안장애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노인의학학회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