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혼부부 자가 비중 전세 추월…"주거 해결 안 되면 결혼 포기"

신혼부부 자가 비중 전세 추월…"주거 해결 안 되면 결혼 포기"
1년 미만 신혼부부의 자가비중이 최근 5년간 크게 늘어나 전세 비중을 추월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과거 세대는 결혼한 후 내 집을 마련했다면 지금 세대는 주거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결혼을 지연시키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강해진 데 따른 것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2일 통계청의 'KOSTAT 통계플러스' 창간호에 실린 '결혼하면 어떤 집에 살고 왜 이사를 할까' 이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년 미만 신혼부부의 주거점유 형태는 2015년 기준 자가 비중이 37.7%, 전세 비중은 35.1%로 자가가 전세를 앞질렀습니다.

5년 전인 2010년 기준 신혼부부의 자가 비중이 32.3%, 전세 비중이 44.1%로 전세 비중이 훨씬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자가 비중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5년 미만 신혼부부의 자가 대 전세 비중도 같은 기간 45.6%와 33.2%에서 50.6%와 27.4%로 크게 벌어졌습니다.

박시내 통계개발원 통계분석실 사무관은 "선결혼→주거에서 선주거→결혼으로 의식과 형태변화가 반영된 것"이라며 "과거에는 주거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일단 결혼한 이후 내 집을 마련했다면, 최근 세대는 주거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결혼을 지연시키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지금 결혼하는 세대는 베이비붐(1955∼1963년생) 자녀세대인 에코 세대여서 이전 세대보다 노후자금을 확보한 부모가 자녀가 결혼할 때 자녀세대의 주택마련을 지원하는 경향이 강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이 밖에 신혼부부 특별 분양 등과 같은 정부의 신혼부부 주택 지원정책이나 대출을 얻더라도 자가를 선호하는 현상이 반영됐을 수 있다고 통계청은 덧붙였습니다.

다만, 5년 미만 신혼부부의 자가비중은 2015년 기준 서울은 31.3%, 수도권은 37.0%, 비수도권은 52.8%, 전국은 44.3%로 지역별로 차이가 납니다.

이후 신혼부부가 출산을 통해 가족을 확장하는 결혼 5∼19년 차에는 교육문제로 이사하는 비중이 다른 때보다 압도적으로 높으며, 자가의 비중이 59.7%로 늘어났습니다.

이 중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중은 69.4%다. 자녀의 출산으로 2세대 가구의 비중은 80.1%에 달하게 됩니다.

자녀의 독립과 결혼, 부부의 은퇴가 이뤄지는 결혼 20∼34년 차에는 자가 비중이 67.0%로 치솟지만, 2세대 가구 비중은 65.1%로 감소했습니다.

이후 부부의 노화와 사망이 이뤄지는 가족 해체기인 결혼 35년 차 이상에서 자가비중은 76.7%에 달해, 4가구 중 3가구는 자기 집에 거주합니다.

2세대 가구의 비중은 26.6%로 감소하지만, 1인 가구 비중은 32.3%에 달합니다.

통계청은 결혼으로 가족이 형성되는 결혼 5년 미만 가족형성기에는 직장과 근거리의 비교적 저렴한 주택을 선택하게 되며 높은 전세 비중과 주거이동성이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5∼19년 차 가족 확장기에는 직장이나 취업보다 자녀 교육문제가 주거 이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이후 20∼34년 차 가족 수축기에는 직장이나 취업보다는 환경이나 건강을 이유로 주거를 이동할 확률이 높습니다.

통계청은 "정부가 주거지원 정책을 세울 때는 가족의 생활주기 단계별로 주거 욕구가 달라지는 것을 고려한 세부적 정책마련이 중요하다"면서 "신혼부부, 1인 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구체적 주거 욕구 파악과 선별적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