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닐 대란' 오나…수거 중단 하루 앞두고 주민 혼란

재활용품 수거 업체들이 비닐과 스티로폼 수거를 중단하겠다고 예고한 4월 1일을 하루 앞둔 3월 31일 서울 아파트 단지 등에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집집마다 서둘러 꺼내놓아 비닐과 스티로폼이 산더미처럼 쌓인 아파트 단지들이 있는가 하면 벌써부터 비닐과 스티로폼을 버리는 재활용품 수거함을 치워버린 단지도 눈에 띄었습니다.

재활용 업체들은 중국 수출길이 막혀 채산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그동안 덤으로 가져가던 비닐과 스티로폼을 수거하지 않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환경부와 지자체 등 당국은 오물을 깨끗하게 씻어낸 비닐이나 흰색 스티로폼은 계속 수거될 것이라고 안내하고 있어 주민들 사이에 혼란도 빚어지고 있습니다.

관리사무소들은 수거 업체가 재활용품을 가져가지 않아 쓰레기가 쌓일 것을 우려해 비닐 등을 종량제봉투에 넣어 버리라고 하지만, 이는 불법인 데다 종량제봉투 값도 만만치 않아 주민들 입장에서는 어쩔 도리가 없는 상황입니다.

이날 직접 찾아가 본 서울 성북구의 한 아파트는 비닐과 스티로폼을 버리는 재활용품 수거함을 통째로 치운 상태였습니다.

이 아파트 엘리베이터 등 곳곳에는 오물이 묻은 스티로폼과 함께 모든 비닐류를 분리 배출하지 말아 달라는 공문이 게시됐습니다.

비슷한 공문이 붙은 서울 강서구 아파트의 한 주민은 "폐비닐을 종량제봉투에 넣어 버리면 위법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일단 집에 쌓아뒀던 재활용품을 내놨다"고 말했습니다.

마포구의 한 7백 세대 규모 아파트 단지 분리수거장에는 여전히 폐비닐 뭉치가 흩어져 있었습니다.

'비닐 →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세요'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지만, 대부분 그간 해오던 대로 버린 것입니다.

이 아파트의 미화원은 "안내문은 미리부터 붙었다"며 "비닐을 담는 분리수거용 마대자루는 없앴는데, 일부 주민들이 습관적으로 폐비닐을 분리 배출하려고 따로 가져왔다가 그냥 쌓아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비닐 등의 '분리 배출 불가' 공지가 전혀 없는 곳도 있었습니다.

서울 용산구 아파트의 한 주민은 "언론 보도를 통해 비닐과 스티로폼을 분리 배출할 수 없다는 얘기를 들어 난감했는데, 우리 아파트에는 공지가 전혀 없다"고 말했습니다.

공덕역 근처의 1개 동짜리 아파트 관리소장도 "여기는 100세대도 채 안 되는 곳이라 그런지 분리수거 용역업체가 계속해서 비닐을 가져가겠다고 해 별도 공지는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대해 일각에서는 일방적으로 재활용품을 수거하지 않겠다고 통보한 재활용 업체들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돈이 될 때는 서로 수거하기 위해 경쟁해놓고, 이제 와 나 몰라라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재활용 업체들은 돈이 되는 폐지나 폐플라스틱을 수거해 가면서 비닐 등도 함께 가져갔는데, 올해 1월부터 중국이 폐지나 폐플라스틱 등 폐자원을 수입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수익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돼 더이상 비닐과 스티로폼을 수거할 수 없게 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거된 뒤 고형 연료로 재활용되는 비닐은 최근 저유가 때문에 돈이 되지 않는 데다 오물이 잔뜩 묻은 채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이를 처리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더 든다는 게 업체들의 설명입니다.

환경부는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들과 함께 주말 사이 상황반을 꾸려 대응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비닐 같은 재활용 가능 자원을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는 것은 과태료 부과 대상"이라며 "업체 측에도 이런 사실을 다시금 알리면서 원래대로 수거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일 업체에서 끝까지 비닐이나 스티로폼을 수거해 가지 않는다면 시·구에서 별도로 수거, 운반할 것"이라며 "4월부터도 깨끗하게만 버린다면 문제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