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스마트신약 등 제약 육성에 올해 4천324억 원 투입

정부가 2022년까지 제약산업 일자리 14만개를 만들고 글로벌 신약 15개를 개발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 제약 분야 연구개발(R&D) 등에 4천324억 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추진되는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 중 올해 시행될 계획을 확정해 30일 발표했다.

올해 투입되는 정부 예산은 작년보다 535억 원 많은 4천324억 원이다.

예산은 R&D(3찬839억 원), 인력양성(250억 원), 수출지원(133억 원), 제도개선(102억 원)에 쓰인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활용한 신약, 치매·유전자 치료제 등 '스마트 신약'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희귀·난치질환 치료제 개발 등 공익 목적의 R&D를 강화한다.

신약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약산업 특성화 대학원 등을 지원하고, 보건산업 혁신창업지원센터를 구축해 유망 기술 발굴과 맞춤형 컨설팅에 나선다.

제약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독립국가연합(CIS.옛 소련국가 모임) 국가와 중국의 보건 및 품목인허가 담당자에게 국내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백신 연구개발을 위해 정부와 기업, 게이츠재단이 함께 투자하는 민관 협력펀드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RIGHT)도 조성한다.

복지부는 의료기기와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한 올해 시행계획도 확정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헬스케어 융합기술 개발, 의료기기산업육성법 제정 등 18개 과제가 시행되고 화장품 분야에서는 피부과학 응용기술 개발, 해외 화장품시장 개척 지원 및 해외 판매장 운영, 화장품산업진흥법 제정 등 16개 과제가 추진된다.

양성일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4차 산업혁명의 기회를 잘 활용해 국민에게 건강과 일자리를, 기업에는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도록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