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GM 사장 "3월 말 노사합의 무산되면 성과급부터 지급불능"

한국지엠(GM) 경영정상화의 최대 관건인 임단협 노사 교섭이 진척 없이 헛돌자,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이 '3월말 시한'을 강조하며 노조에 사실상 마지막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카젬 사장은 이달 말까지 비용 절감을 위한 임단협 잠정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본사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공장 신차 배정과 투자, 산업은행과 한국 정부의 지원 모두 사실상 불가능해진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젬 사장은 지난 28일 임직원들에게 이런 내용을 담은 이(e)메일 형태의 서한을 보냈습니다.

이에 따르면 그는 "만약 3월 말까지 노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4월 초 도래하는 각종 비용 지급을 위한 추가 자금 확보가 불가능한 사태에 이를 것"이라며 "현재 회사의 유동성 상황을 감안했을 때, 추가 자금이 수혈되지 않는다면 4월 6일 지급하기로 한 일시금(2017년 임금협상에서 합의한 성과급)을 포함해 각종 비용 지급이 불능 상태가 된다"고 밝혔습니다.

4월 중 지급이 예정된 작년도 성과급 중 절반(1인당 약 450만원),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2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한 약 2천600명에 대한 위로금 등을 모두 줄 수 없을 만큼 자금난이 심각하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GM과 한국GM은 이들 인건비 지급에만 약 6천억원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그는 노사 합의 불발이 '지급불능'으로 이어지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카젬 사장은 "경영진은 수차례 직원들과의 만남을 통해 신제품 배정과 투자를 포함, 한국GM 회생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며 "하지만 이 회생 계획은 주주, 정부, 노동조합 등 핵심 이해 관계자들이 고통분담을 통해 모두 지원하고 동참할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한국GM의 모기업이자 대주주 GM이 한국시장에 신차 배정을 포함, 수조원에 이르는 신규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도 다시 강조했습니다.

2대 주주 산업은행도 실사를 통해 한국GM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검토 중이나, 비용 구조 개선과 관련된 2018년도 임단협 합의 지연이 산은의 실사 과정과 투자 결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카젬 사장은 노조 외 다른 이해 관계자들의 동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는 "한국 정부 역시 한국GM 신제품(신차)과 생산 시설을 포함한 미래 투자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며 "주주들과 정부는 우리의 경영정상화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그들의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노조도 이런 카젬 사장의 호소에 일단 반응을 보였습니다.

한국GM 노사는 일단 30일 오전 10시에 7차 임단협 교섭을 여는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28일 노조는 사측에 지난 16일 공개한 '임금인상 관련 요구안'과 군산공장 폐쇄 철회 등을 포함한 '한국GM 장기발전전망 관련 요구안' 논의를 위한 교섭을 제안했습니다.

이에 대해 사측은 29일 오전 복지후생비 축소를 포함한 사측 수정 교섭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공문으로 전달해 교섭 재개 자체가 불투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날 오후 노사간 접촉을 통해 어렵게 교섭 일정이 잡힌 만큼, 7차 교섭에서는 사측의 수정안과 노조 요구안이 함께 논의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