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2분마다 1명씩 증가하는 치매환자…대응 전략은

'초고령 사회' 부산 4대 연구기관 공동연구 돌입

12분마다 1명씩 증가하는 치매환자…대응 전략은
부산은 2018년 현재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6.3%에 이른다.

2020년이면 부산의 노인인구 비중은 20%로 늘어나면서 치매 인구 또한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복지개발원, 부산 공공보건의료지원단, 부산여성가족개발원, 부산발전연구원은 초고령 사회 부산의 치매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공동연구에 들어간다고 27일 밝혔다.

첫 프로그램으로 28일 오후 1시 30분 부산복지개발원에서 제1회 치매 대응 포럼을 연다.

포럼 주제는 '초고령 사회 부산의 치매 대응방안'으로, 전문가 주제발표와 부산시 등 관계기관 토론회로 진행된다.

포럼 발제자로 나서는 동의대 선우덕 교수는 초고령 사회의 치매 대응 방향을 살펴볼 예정이다.

선우 교수는 "우리나라 85세 이상 노인 2명 중 1명이 치매 환자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고령화가 85세 이상 노인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어 초고령 사회가 도래하기 전에 치매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어 부산시 광역치매센터 박경원 센터장은 부산의 치매 대응 종합정책 연구 추진방향을 발표한다.

박 센터장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2분마다 1명씩 치매 환자가 발생하면서 하루 200명씩 치매 환자가 늘고 있다"며 "65세 이후 사망 때까지 노후 의료비로 1인당 8천100만원이 소요되는 현실에서 치매 관리 종합계획과 국가치매책임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부산복지개발원 이재정 박사는 부산의 치매 대응 종합정책 연구추진 방안을 주제로 경증치매대상자, 치매 관련 시설 종사자, 부양가족 욕구 등 현실적인 문제 파악과 대응방법을 모색한다.

주제 발표를 마치면 부산발전연구원 김형균 박사의 진행으로 전문가 토론을 열어 부산시 차원의 치매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논의를 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정부에서 치매국가책임제를 발표한 상황에서 초고령 사회 부산에 맞는 치매 종합대책을 수립하고자 부산지역 4개 연구기관이 치매 대응전략 수립에 나선다"며 "치매 환자와 가족이 겪는 문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해결방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