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UAE '특별 전략동반자 관계'로…외교·안보 '2+2' 협의체 신설

한·UAE '특별 전략동반자 관계'로…외교·안보 '2+2' 협의체 신설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지난 2009년 수립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합의했습니다.

UAE를 공식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25일) 낮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와 정상회담을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합의했습니다.

우리나라가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는 인도(2015년)와 인도네시아(2017년) 두 나라 뿐으로, 양국 관계의 틀을 미래지향적으로 업그레이드시키겠다는 양국 정상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양국 정상은 또 '외교·국방 2+2 차관급 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지난 1월 칼둔 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이 모하메드 왕세제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했을 당시 신설하기로 합의한 '외교·국방 2+2 대화채널'을 공식화한 것입니다.

특히 이명박 정부 때 체결된 것으로 알려진 비밀 군사 양해각서(MOU) 문제 등 양국 간 외교안보 현안을 심층 논의하고 공동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정례적 협의체가 구축됐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우리나라는 미국·호주와 '외교·국방 2+2 장관급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도와는 지난 2015년 '외교·국방 2+2 차관급 협의체'를 맺었으나 아직 협의체를 가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양국 정상은 또 격상된 양국 관계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외교부 장관 간 전략대회를 활성화하고 경제공동위원회를 연례 개최한다는데 합의했습니다.

그동안 한·UAE 외교부 장관 간 전략대회는 2012년 3월 서울에서 제1차 회의가 열렸으며, 2016년 9월 뉴욕에서 유엔총회를 계기로 2차 회의가 열린 바 있습니다.

한·UAE 경제공동위는 2007년 6월 서울에서 첫 회의가 열린 이후 지난 9일 서울에서 제6차 회의가 개최되는 등 2∼4년마다 비정기적으로 개최됐습니다.

양국 정상은 그동안 에너지·인프라는 물론, 국방·방산·보건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범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왔음을 평가하고, UAE가 탈 석유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을 고려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신기술 및 미래성장 산업 분야로 실질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

양측은 특히 과학기술, 우주, 특허, 중소기업, 농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반성장과 쌍방향 발전을 위해 경제협력을 획기적으로 증진하고 다변화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습니다.

이에 양국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칼리파 과기대간 '한-UAE 공동 R&D 센터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신재생에너지, 우주, 소형무인체, 바이오헬스 등 미래성장산업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한국기업의 UAE 에너지 관련 시설 수주에 대해 사의를 표하고,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이 UAE의 에너지·인프라 건설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모하메드 왕세제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