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0세 이상 경기도민 75%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

60세 이상 경기도민 75%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
▲ 위 사진은 이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60세 이상 경기도민 4명 가운데 3명은 향후 자녀와 같이 살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1일 경기도가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1천37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에서 59.5%가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이유로는 '본인의 독립생활이 가능해서'(32.4%)가 가장 많았고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29.6%), '자녀에게 부담 될까 봐'(20.8%), '자녀의 직장·학업 때문에'(13.5%) 등의 순이었습니다.

자녀와 동거하고 있다는 응답자(40.5%)는 '모두의 독립생활이 가능하지만 같이 살고 싶어서'(35.4%),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해서'(28.7%), '손자녀 양육 및 자녀의 가사를 돕기 위해'(10.5%), '본인의 독립생활이 불가능해서'(24.4%) 등의 이유를 들었습니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현재 동거 여부를 떠나 '향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75.4%나 됐습니다.

자녀와 비동거를 희망하는 비율은 2005년 48.2%, 2011년 64.4%, 2013년 70.2%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자녀와의 동거 이유로 '모두의 독립생활이 가능하지만 같이 살고 싶어서'라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72.0%도 '향후에는 따로 살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부모들의 인식 변화와 함께 노부모 부양과 관련한 가치관도 많이 바뀐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16년 통계청 조사에서 15세 이상 경기도민의 31.0%가 '부모의 노후 책임은 가족(자녀)의 전적 책임'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10년 전인 2006년 61.3%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수치입니다.

반면 '부모 부양은 '가족(자녀) 및 정부·사회 공동책임'이라는 응답은 2006년 28.3%에서 2016년 48.2%로 증가했습니다.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도 2006년 8.0%에서 2016년 15.2%로 늘어났습니다.

도는 이번 분석 결과를 고령화 대책 등 가족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