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명 중 1명꼴 금융사기 당했거나 당할 뻔"

"5명 중 1명꼴 금융사기 당했거나 당할 뻔"
5명 중 1명꼴로 보이스피싱이나 금융피라미드 사기 등 금융사기 피해를 봤거나 피해를 볼뻔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과 6대 광역시 및 경기지역 신도시 등에 거주하는 25∼64세 성인 2천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금융사기 피해자와 준피해자는 558명으로 22.1%에 달했습니다.

실제로 과거에 한 번이라도 금융사기 피해를 본 경우는 65명으로 2.6%였고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등 준피해자는 493명으로 19.5%였습니다.

금융사기 피해자 중 가장 많이 피해를 본 유형은 보이스피싱으로 26.2%를 차지했고 유사수신 및 금융피라미드 사기가 21.5%, 취업빙자 사기가 13.8%였습니다.

유사수신 및 금융피라미드 사기 비율은 2016년 8.4%에서 지난해 21.5%로 높아졌고 보이스피싱 비율은 35.3%에서 26.2%로 낮아졌습니다.

9명의 20대 금융사기 피해자 중에는 유사수신 및 금융피라미드 사기 피해 비율이 44.4%로 높았고 취업빙자 사기가 22.2%로 취업 관련 사기에 취약했습니다.

그러나 금융사기 예방교육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작년 한 해 금융사기 예방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응답이 80.4%로 전년의 81.8%보다 소폭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았습니다.

금융사기 예방교육 경험 채널(복수응답)은 언론보도·기사가 50.5%로 가장 높고 공익광고영상 등 49.5%, 공공기관 사이트 31.8%, 블로그·카페·SNS 등 31.4%, 각종 홍보물 27.4% 등이었습니다.

펀드 투자 관련 조사에서는 지난해 일반펀드 투자를 통해 이익을 본 비율이 높아지고 손해를 본 비율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유 금액이 원금보다 늘었다는 비율이 53.1%로 2015년 37.2%, 2016년 34.8%보다 큰 폭으로 높아졌습니다.

반면에 원금보다 줄었다는 응답은 17.8%로 2015년 29.2%, 2016년 30.35%보다 줄었습니다.

펀드 투자 지속 시 가장 선호하는 펀드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혼합형펀드로 36.4%를 차지했으나 주식형펀드가 35.2%로 선호도가 높아져 격차가 좁아졌습니다.

펀드 투자 시 판매보수 등 보수 및 수수료에 대한 정보 인식 수준은 낮았습니다.

자산운용사와 투자 대상에 대한 정보 인지 수준은 80% 이상으로 조사됐으나, 운용보수나 환매수수료, 판매보수, 판매수수료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은 50~60%대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응답자의 62%는 먼저 펀드 판매 금융회사에 방문해 펀드를 선택한다고 답해 펀드를 먼저 선택 후 판매회사를 방문하는 경우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펀드 가입을 위해 직접 판매사를 방문하는 경우 은행을 가장 많이 이용했고 인터넷, 모바일을 통해 가입하는 경우에는 증권사가 가장 많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