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자리 쇼크' 취업자 증가 10만 명 턱걸이…실업자 126만 명

극심한 실업난에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10만 명을 겨우 넘어서면서 8년여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08만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 4천 명 증가했습니다.

이는 2010년 1월 1만 명 감소한 후 가장 낮은 수준의 증가 폭입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9월 31만4천명을 기록한 뒤 3개월 연속 20만명대를 기록하다가 1월 33만4천명으로 넉 달 만에 다시 30만 명대로 올라섰지만 한 달 만에 10만 명대로 주저앉았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9만2천명), 교육서비스업(-5만4천명) 등에서 감소했는데, 도매 및 소매업 감소 폭은 2016년 5월 9만4천명 후 최대 감소 폭입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2만2천명 감소해 9개월째 감소를 이어나갔습니다.

반면 건설업(6만4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5만9천명) 등에서는 증가했고, 제조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만4천명 늘면서 전달(10만6천명)보다 증가 폭이 크게 둔화했습니다.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4만2천명 줄어 6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습니다.

고용률은 59.2%였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1%p(포인트) 상승한 65.8%였습니다.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7만6천명 감소한 126만5천명으로 두 달 연속 100만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실업률은 4.6%로 1년 전보다 0.3%p 하락했고,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년 전보다 2.5%p 하락한 9.8%였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2013년 2월 9.0% 이후 동월 기준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올해 국가직 9급 공무원 시험 접수 기간이 2월 말로 변경되면서 이달 지표에는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입니다.

체감실업률인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8%로 1년 전보다 1.9%p 하락했습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제조업과 농림업 취업자 증가가 둔화했고 도소매 감소 폭이 크며 기저효과도 있다"며 "2월 기온이 크게 하락하면서 경제 활동이 전체적으로 위축된 경향이 있었다"고 분석했습니다.

빈 과장은 숙박 및 음식점업 둔화에 최저임금 인상 여파가 있느냐는 물음에는 "추위로 이동성이 둔화하고 중국인 관광객이 둔화한 영향이 크다"며 "최저임금과 관련해서는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