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식 한 수?'…"북미 정상회담 돌파 위한 새판짜기 포석"

'트럼프식 한 수?'…"북미 정상회담 돌파 위한 새판짜기 포석"
"왜 하필 이때?" 트럼프 미 대통령의 외교수장 전격 교체가 북미정상회담의 본격 추진 시점과 맞물려 우려 섞인 시선이 없지 않은 가운데 오히려 정상회담 준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트럼프식 한 수'라는 분석도 워싱턴 일각에서 제기됐습니다.

북한과 전개될 고도의 수 싸움을 앞두고 치밀한 전략을 가다듬으며 중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려면 자신의 의중을 잘 알고 '궁합'이 맞는 측근 인사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외교라인 수뇌부 새판짜기라는 것입니다.

특히 '복심'을 앞세워 대북 대화 초반부터 협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13일(현지시간) "외교라인 수뇌부의 극적인 재편은 미국의 가장 중요한 외교적 이벤트인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일어난 것"이라며 "이 두 가지는 확실히 서로 연계돼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대북 대화파인 틸러슨 전 장관과 강경파로 꼽혀온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CIA) 국장의 성향을 비교하면서 "이번 재편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대화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지난 2년간 반관반민 트랙으로 북한과 비공식 대화를 이어온 수전 디마지오 뉴 아메리카재단 국장 겸 선임연구원은 WP에 "트럼프 대통령은 보다 강경한 폼페이오가 틸러슨에 비해 자신을 더 잘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두 사람은 그동안 각자 이끌었던 기관을 대변해온 측면이 있는 만큼 폼페이오 국장도 자리를 옮긴 후에는 그에 걸맞은 '언어'를 구사하게 될 것이라고 패트릭 크로닌 미국신안보센터(CNAS) 아시아태평양안보소장은 진단했습니다.

조엘 위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 입장에서도 폼페이오 국장이 강경파이긴 해도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대화 과정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는 분석을 WP에 내놨습니다.

미국 민간연구소 '국가이익센터'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방연구국장은 폭스뉴스에 기고한 글에서 "외교에서는 대통령과 국무장관의 궁합이라는 한가지 기준이 다른 모든 걸 압도한다"며 "이번 교체에 워싱턴 주변의 외교 전문가들은 깜짝 놀라겠지만, 틸러슨 전 장관은 대통령과 궁합이 맞지 않아 아웃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외교적 폭풍우가 몰아치는 상황에서 거친 도전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는 제대로 된 팀이 필요했던 것"이라며 "자신이 신뢰할 수 있고 호흡이 맞는 최고위급 인사 없이는 무수한 시나리오별 대응을 짜맞춰가야 하는 북한과의 '위험한 도박'에 임하기 어렵다고 봤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폼페이오 국장 역시 '검증되지 않은 외교관'이라는 점에서 미국과의 협상경험이 풍부한 대미통인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의 대좌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WP는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