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GM 부품 협력사 부도 위기…정부·GM 빨리 협상해야"

한국GM 경영위기로 인해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부도 위험에 직면했다면서 정부와 GM의 조속한 협상 개시를 요청했습니다.

자동차 부품업체들로 구성된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오늘(8일) 자료를 내고 "한국GM 협력 부품업체들의 생존기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정부와 GM의 협상이 조속히 본격화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자동차협동조합은 2016년 말 기준 한국GM의 1차 협력업체가 총 318개사이며 이 가운데 LG전자, 두산인프라코어, 세방전지, 한국타이어 등 비전문업체 17개사를 제외한 순수 자동차부품 협력업체는 301개사라고 밝혔습니다.

301개사 중 한국GM과 100% 단독 거래하는 업체는 86개사이고 납품액의 50% 이상을 한국GM에 의존하는 업체는 154개사로 파악됐습니다.

301개사의 종업원은 모두 9만3천15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한국GM과 단독 거래하는 업체 86개사의 종업원은 1만713명입니다.

차, 3차 부품업체의 종업원 4만7천여명을 포함한 한국GM의 전체 협력사 종업원 수는 14만여명입니다.

여기에 원·부자재 납품업체 등 한국GM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이해관계자들의 고용 인원은 3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자동차협동조합은 "최저임금 대폭 인상에 이어 근로시간 단축이 확정되면서 협력업체들의 수익 구조는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한국GM의 수출과 내수판매 부진까지 맞물리면서 납품물량이 급감한 협력업체들은 매출액 감소, 가동률 저하 등으로 경영상 어려움이 누적되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1차 협력사들은 2월 기준 공장가동률이 50∼70%대로 떨어졌고 1~2월 매출액도 전년 동기 대비 20∼30%가량 급감했다고 자동차협동조합은 밝혔습니다.

자동차협동조합은 또 "최근 금융권에서 한국GM과 거래하는 협력업체들을 중점관리대상 업체로 분류하고 대출한도 관리, 여신 축소 등의 조처를 하고 있다"며 "영세한 2∼3차 협력 부품업체의 유동성 위기에 따른 부도 발생이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