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철강 관세, 트럼프 인프라투자에 제 발등 찍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관세' 방침으로 자신의 핵심 국정 과제인 '1조5천억 달러 인프라투자'도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고율의 관세 탓에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가격이 급등하게 되면, 고스란히 인프라투자의 건설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는 뜻이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미국 내 철강 소비량의 40% 이상은 건설업계에 공급된다"면서 "철강값이 오르면 모든 건설 프로젝트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고 꼬집었다.

WSJ은 "철강값이 인상되면 인프라 건설이 어려워지고 건설 부문 일자리도 위협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미 주택건설협회(NAHB)는 철강 관세가 부과되면 건설분야에서만 약 9천4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단독주택 가격은 평균 1천360달러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막대한 재정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연방정부의 추가지원이 어려운 상황에서 일부 건설프로젝트는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가령, 네브래스카 주 더글러스 카운티는 철강값 인상이 현실화하면 새로운 건설프로젝트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더글러스 카운트 측은 "비용 인상과 관련해 기존 건설 프로젝트의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전문 잡지인 포브스도 "철강 관세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인프라투자 공약에 어긋난다"면서 "무엇보다 석유·천연가스 업종에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고 분석해다.

포브스는 "송유관에 사용되는 철강 제품은 주로 외국에서 제조되는 특수 철강"이라며 "철강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산업이 이득을 얻기보다는 에너지 업체들의 비용 부담만 커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에너지 인프라의 건설 비용 증가는 결국 유류비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미국 국민의 부담을 키울 것이라고 포브스는 전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각각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세계 각국은 물론이거니와 미국 내에서도 사실상 철강·알루미늄 업계만 제외하고 각 부문에서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