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GM, 작년에도 9천억 원 적자…4년간 3조 원 육박

한국GM, 작년에도 9천억 원 적자…4년간 3조 원 육박
정부에 대규모 지원을 요청한 한국GM이 지난해 9천억 원에 달하는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매출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정부는 GM 본사의 글로벌 전략 수정과 한국GM의 불투명한 경영 방식을 부실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와 산업은행에 따르면 GM 측은 한국 정부에 대규모 지원을 요청하면서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지난해 실적 추정치를 제시했습니다.

GM이 제시한 수치는 추정치입니다.

비상장사인 GM은 통상 4월 중 감사보고서를 통해 확정 실적을 공표해왔습니다.

GM은 우선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9천억원에 달한다고 정부와 산은에 설명했습니다.

2014년 3천534억원 순손실을 낸 이후 2015년 9천868억원, 2016년 6천315억원에 이어 4년 연속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는 것으로 4년간 손실 규모를 합하면 3조원에 육박합니다.

이처럼 손실 규모가 커지면서 한국GM은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자본잠식 상태로 들어섰습니다.

지난해 영업손실 추정치는 8천억 원으로 2014년 -1천486억원, 2015년 -5천944억원, 2016년 -5천312억원 등 손실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매출 추정치는 10조7천억원으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

정부와 산은은 한국GM이 이처럼 부실화된 첫번째 원인으로 GM본사의 글로벌 전략 수정을 꼽았습니다.

GM이 중국과 북미 위주로 시장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유럽과 인도,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주요 시장에서 줄줄이 철수했고, 계열사 오펠 등을 매각하면서 한국GM의 수출 판로가 없어졌습니다.

특히 2013년 쉐보레 브랜드를 유럽시장에서 철수시킨 것은 한국GM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습니다.

한국에서 주로 생산하던 중소형자 모델 비중을 줄이고 대형SUV나 픽업 등 고수익 차종에 집중한 것도 한국GM의 쇠락을 이끈 직접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GM의 불투명한 경영 방식도 부실의 원인이 된 것으로 정부·산은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2016년 기준 한국GM의 매출원가율은 93.1%로 현대차 81.1%, 기아차 80.2%, 르노차 80.1%, 쌍용차 83.7%와 상당한 격차가 있습니다.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이 제시한 GM 북미 지사의 매출원가율 84.0%, GM 자동차 부문의 전체 매출원가율 86.9%와 비교해봐도 높습니다.

정부·산은은 한국GM의 매출 원가율이 이처럼 높은 이유로 GM 본사로부터의 차입이자율이 5% 안팎으로 높고, 연구개발 비용과 이전 가격 등 업무지원비 부담이 불명확하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