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저금리에도 은행예금에 돈 몰렸다…작년 증가 폭 6년래 최대

초저금리가 지속했는데도 은행 정기예금에 돈이 몰렸습니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 때문에 선뜻 투자에 나서지 못한 기업들의 대기성 자금이 예금으로 유입되고 대출 자금을 충당하느라 은행들이 예금을 늘린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은행권의 정기예금 잔액은 617조4천699억원으로 1년 전보다 5.2%, 30조4천933억원 증가했습니다.

증가율과 증가액 모두 2011년 12.1%, 60조8천95억원 이후 가장 컸습니다.

정기예금 잔액이 600조원을 넘긴 것도 지난해가 처음입니다.

예금 기간별로 보면 만기가 1년 미만인 단기 예금 중심으로 늘었습니다.

만기 1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은 206조4천708억원이었습니다.

1년 사이 14.4%, 26조334억원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정기예금 증가액의 85%가 1년 미만 정기예금에서 불어난 셈입니다.

만기가 1년 이상∼2년 미만인 정기예금은 겨우 0.7% 늘었습니다.

2년 이상∼3년 미만인 정기예금은 18.5% 증가했습니다.

3년 이상 장기 예금만 5.6% 감소했습니다.

기준금리가 지난해 11월 말까지 사상 최저인 1.25%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기예금의 이 같은 증가는 언뜻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전문가들은 정기예금 증가 배경으로 시중 부동자금이 유입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낮은 금리를 활용해 회사채를 발행했지만 경제 상황이 불투명하다 보니 선뜻 투자에 나서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기업들이 투자처를 찾을 때까지 임시로 단기 예금과 같은 금융상품에 자금을 묶어두다 보니 예금이 불어난 모양새입니다.

예금 증가는 가계대출 증가와 맞닿아 있다는 설명도 있습니다.

주택 구입 등을 위한 대출 수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대출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예금금리를 소폭 높이는 등의 방식으로 예금 쪽으로 자금을 유인하기도 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