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리아 휴전' 안보리 결의 늦춰진 사이 주민 희생 500명 넘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시리아 휴전 결의안 표결이 늦춰진 사이에도 시리아 수도 인근 반군 지역에서 무차별 폭격이 계속됐다. 무고한 주민 희생도 늘어만 갔다.

시리아내전 모니터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는 24일(현지시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반군 지역 동(東)구타에서 이레째 시리아군의 공습과 포격이 이어졌다고 보고했다.

이날 폭격으로 두마 구역 등에서 주민 35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새로운 사망자에다, 무너진 건물 더미 아래서 뒤늦게 수습된 시신이 더해져 하루에도 몇 번씩 인명피해 집계가 바뀌는 실정이다.

대대적인 공습과 포격이 시작된 18일 오후부터 현재까지 민간인 사망자는 513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127명은 시리아내전에 아무런 책임이 없는 아이들이다.

이날 공습에는 러시아 전투기도 투입됐다고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전했다.

유엔 안보리는 22일(미국동부시간) 동구타를 비롯해 시리아 포위지역에서 30일간 인도주의 휴전을 시행하는 결의안을 표결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와 이견 조정 실패로 23일로 의사결정을 미뤘고, 다시 24일로 하루 더 연기했다.

그 사이 어린이 약 30명을 포함해 주민 110명 가량이 더 희생됐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30일짜리 인도주의 휴전 결의안을 밀어붙이고 있으나, 러시아는 서방이 반군으로부터 휴전 보장을 받아내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동의할 수 없다며 버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 시리아에서 최근 러시아의 행태는 '수치'라고 비난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오늘 우리는 러시아에 양심이 있는지 보겠다"고 말했다.

반군이 점령하고 있는 동구타는 지난 2013년부터 시리아군에 포위됐으며, 주민 약 40만명이 살고 있다.

다음달이면 만 8년차에 접어드는 시리아내전과 극단주의 조직 '이슬람국가'(IS) 발호로 지금까지 시리아 전역에서 46만5천명이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