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북간 핫라인 부활됐나…국정원-통전부 채널 주목

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에 고위급대표단을 보내는 것을 계기로 남북 간에 연결된 '핫라인'이 복원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폐회식 대표단 파견 통보 사실이 공개된 직후인 22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고위급대표단 단장으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을 파견하겠다는 사실을 통보한 시점에 대한 질문에 "정확히 모른다. 다만 비공식적으로 접촉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우리측에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이 '비공식 접촉'이 국가정보원에 설치된 남북간 핫라인을 통한 북한의 의사전달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과거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국정원에 북한과 연결되는 직통전화채널이 구축되어 있었고, 이 채널을 통해 남북한 최고 지도자간의 의사소통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외교안보를 담당했던 한 관계자는 23일 "당시 국정원에는 24시간 가동되는 라인이 존재했고 이 라인을 통해 전달된 북한의 메시지는 곧바로 대통령에게 보고가 이뤄졌다"며 "북한도 마찬가지 구조였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이 채널은 2000년 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에 연결돼 김대중 정부를 거쳐 노무현 정부까지 유지됐습니다.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은 회고록 '피스메이커'에서 6·15정상회담을 회고하면서 "(김대중 대통령께서) 뭔가 중요한 문제가 생기면 우리 두 정상이 직접 의사소통합시다. 이 기회에 두 정상 간 비상연락망을 마련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하자 "(김정일 위원장이) 그거 좋은 생각입니다. 그렇게 합시다"라고 말해 핫라인이 연결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나 개인적으로는 이 핫라인의 개설이야말로 정상회담 최대 성과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이 남북간 핫라인은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 제재와 압박에 무게를 둔 대북정책을 추진하면서 단절됐고, 박근혜 정부에서도 이런 상황이 계속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라인이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고위급대표단으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친여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을 파견하면서 복원됐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핫라인의 부활은 국정원과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사이의 긴밀한 소통으로 이어지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남쪽에서는 국정원에, 북쪽에서는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통전부에 각각 핫라인이 설치돼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전날 "통일전선부장의 지위는 우리 쪽의 국정원장으로 알고 있다"며 "서훈 원장이 카운터파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핫라인의 부활은 자연스럽게 국정원과 통전부 사이의 긴밀한 소통으로 이어지면서 남북관계뿐 아니라 북미관계, 핵 문제 등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