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천안함 폭침 배후' 인식됐던 北 김영철 방남…논란 예상

'천안함 폭침 배후' 인식됐던 北 김영철 방남…논란 예상
▲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에 참석할 고위급 대표단 단장으로 선택한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2010년 천안함 폭침 당시 폭침 배후로 지목됐던 인물이어서 논란이 예상됩니다.

군은 천안함 폭침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를 담당하는 북한군 4군단과 대남 공작을 맡은 정찰총국의 소행이라며, 당시 4군단장이었던 김격식과 김영철 정찰총국장이 사건을 주도했을 것으로 관측한 바 있습니다.

김영철이 이끈 정찰총국은 이외에도 연평도 포격, 북한의 사이버 테러 등 크고 작은 대남 도발·위협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의심을 받았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영철의 방남과 관련, "북한이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목적을 '폐막행사 참가'라고 밝힌 것을 우선 고려했다"며 "또한,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 정착이라는 큰 틀에서 수용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2010년 5월 20일에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이 '천안함 침몰'이 북한제 어뢰에 의한 것으로 결론 내린 바 있으나, 북한 정찰총국장이 천안함 공격을 주도했다고 발표하지는 않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은 2010년 8월 천안함 폭침 등을 들어 정찰총국과 김영철 정찰총국장을 미국 방문 등이 금지되는 독자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우리 정부도 2016년 3월 김영철을 독자제재 대상에 포함했습니다.

다만, 우리 정부의 제재에는 우리 국민과의 금융거래 금지와 국내자산 동결만 포함될 뿐 남측 방문을 제한하는 내용은 없는 만큼 정부는 이번 방남 자체에 큰 문제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영철은) 우리 지역 방문에 대한 제한은 없다"며 "미국 측과는 외교부에서 관련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대상 명단에도 '김영철'이라는 인물이 포함돼 있으나 통일전선부장 김영철과는 동명이인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동안 북한의 대남 강경노선을 주도해온 것으로 관측돼온 김영철이, 남북 화해무드 속에서 치러질 이번 폐회식 무대에 나서 어떤 면모를 보여줄지도 주목됩니다.

김영철은 지난 2013년 3월 조선중앙TV에 출연해 인민군 최고사령부 대변인 명의로 '정전협정 백지화'를 발표하면서 "미제에 대해 다종화된 우리식의 정밀 핵타격 수단으로 맞받아치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퍼부으면 불바다로 타번지게 돼 있다"고 위협해 강성 이미지를 확인했습니다.

2014년에는 류제승 당시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남북 군사당국자 비공개 접촉 테이블에 마주앉기도 했지만, 당시 접촉은 구체적 합의 없이 끝났습니다.

한편, 이번 개회식에 폐회식 고위급 대표단에 포함돼 2주 만에 다시 방남하게 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은 김영철의 '오른팔'로, 역시 남북협상 경험이 풍부해 올림픽을 계기로 한 남북 대화 과정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카운터 파트 역할을 해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