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伊 언론 "교황청-중국, 이르면 내달 말 주교임명 방식 공식 합의"

교황청과 중국이 양국 관계 정상화의 주요 걸림돌로 인식됐던 주교 임명 방식에 대해 이르면 3월 이후 공식 합의서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이탈리아 언론이 보도했다.

일간 코리에레 델라 세라는 18일(현지시간) 익명의 교황청 관계자를 인용해 프란치스코 교황과 중국 정부가 이미 주교 임명 방식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으며, 3월 하순 이후에 합의를 공식화하는 의식이 열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알기로는 이미 (주교 임명 방식에 대한)결정이 내려졌고, 3월 말 이후로 중국 당국과 합의에 서명하는 절차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측에서 누가 양국 사이의 서명 행사에 책임자로 나설지, 서명식이 열리는 장소가 어디일지, 막판에 깜짝 변수가 생길지 등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교황청과 중국은 최근 오랫동안 이견을 보이던 주교 임명 문제를 놓고 절충안 마련에 성공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교황청은 교황의 승인을 받은 중국 천주교 지하교회의 주교 2명으로 하여금 이들의 교구를 중국의 관영 천주교 애국회 주교들에게 넘기게끔 하고, 이를 통해 중국 내 주교 서품에 개입할 여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황청과 중국은 1951년 외교관계가 단절된 이후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의 취임과 함께 관계 개선의 기미를 보였으나 주교 임명 문제에서만큼은 양보 없이 팽팽하게 대치해왔다.

가톨릭 교회에서 주교 임명은 교황의 고유 권한이지만, 중국 정부는 교황청의 간섭 없이 천주교 성직자를 독자 임명하겠다는 자선자성(自選自聖) 원칙을 고수해 왔기 때문이다.

양국이 이번 보도처럼 3월 말 이후 주교 임명 방식에 대한 합의를 공식화할 경우 단절된 외교 관계 복원도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교황청 고위 성직자는 "다음 단계는 곧 외교관계 복원이라 생각하는 게 논리적일 것"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코리에레 델라 세라는 그러나, 중국과 교황청의 관계 정상화를 놓고 미국은 못마땅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대만은 반대하고 있는 것도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경우 교황청과 중국이 수교할 경우 교황청의 승인을 등에 업은 중국의 역내 영향력이 강화되고, 양국 수교가 중국의 인권과 종교 자유 문제에 면죄부를 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과 교황청의 수교 시 교황청과의 단교가 불가피해 외교적으로 더욱 고립되는 처지로 내몰리는 대만은 우려가 더 클 수밖에 없다.

코리에레 델라 세라는 교황청과 중국의 국교가 정상화되면 교황청 주재 대만대사관은 외교 공관 대신 문화원으로 대체하라는 요구 등을 받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교황청의 중국과의 관계 개선 움직임에 홍콩 대주교 출신 조지프 쩐(陳日君) 추기경이 "가톨릭을 중국에 팔아넘기는 처사"라고 반발하는 등 비판의 목소리도 존재한다.

그러나, 교황청은 1천만 명에 달하는 중국 지하교회 신자들을 보호하고, 교황청의 인가를 받은 지하교회 신자들과 중국 관영 천주교 애국회의 분열을 봉합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