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홍삼정 평균 제조원가, 판매 가격의 31.3% 불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홍삼정의 평균 제조원가가 판매가격의 3분의 1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홍삼정 제조업체들이 다른 식품제조업보다 과도하게 마케팅비를 지출해 판매가격이 올라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소비자단체들은 이런 점을 근거로 홍삼정 가격 인하 여력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한국인삼공사·농협홍삼·지씨바이오·이마트 홍삼나라 등 4개 업체의 240g짜리 홍삼정 직영몰 가격을 분석한 결과, 평균 제조원가는 5만2천790원으로 판매가격(16만8천500원)의 31.3%였다고 19일 밝혔습니다.

평균 제조원가는 식품제조업의 평균 원가구성 비율을 근거로 원재료비(75.91%), 노무비(7.73%), 경비(16.36%)를 합산해 추정했다고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설명했습니다.

과도하게 높게 형성된 홍삼 판매가격은 광고선전비 등 마케팅비용 비중이 높기 때문이라고 물가감시센터는 설명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사이트(DART)에 올라있는 감사보고서를 보면 한국인삼공사는 2016년 매출액 대비 광고선전비 비율이 11.3%로 식품제조업계 평균인 1.89%보다 5.9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홍삼제품 원재료인 수삼가격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6% 하락했음에도 홍삼 판매가격에는 영향을 전혀 주지 않았다고 물가감시센터는 강조했습니다.

브랜드별로 홍삼정 240g 가격을 보면 지씨바이오 '참다한 홍삼정'이 22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한국인삼공사 정관장 홍삼정 19만8천원, 농협홍삼 홍삼정 프라임 17만8천원.

이마트 홍삼정 7만8천원 등 순입니다.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홍삼은 많은 소비자가 즐겨 찾는 고가의 건강기능제품으로 자리 잡았지만 판매가격이 과도하게 높게 책정돼 있는 만큼 인하 여력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홍삼제품의 경우 특정 브랜드를 무조건 신뢰하기보다는 가격과 주요 성분 함량을 꼼꼼히 따져보고 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반면 홍삼업계 관계자는 "제품 가격 산정요인으로는 원료관리비, 제조비, 연구개발비 등도 포함시켜야 한다"며 "따라서 원재료비와 마케팅비용만으로 추산한 이 소비자단체의 분석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