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4대 시중은행 전세자금대출 40조 돌파…1년 새 31% 증가

4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규모가 4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약 40조42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월 잔액(38조9천925억원)보다 2.69%, 지난해 같은 달(30조4천921억원)과 비교하면 1년 만에 31.32% 증가한 수치입니다.

4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2016년 1월까지만 하더라도 22조7천331억원이었지만,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같은 해 12월 30조원을 돌파했고, 이어 13개월 만인 지난달 40조원 선을 넘어섰습니다.

은행마다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어림잡아 은행당 전세자금대출 규모가 10조원 안팎에 이르게 된 셈입니다.

전세자금대출 급증의 주요 원인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인 전셋값입니다.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중위전세가격은 2억3천211만원, 서울의 경우 4억2천537만원에 달했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과 가계부채 억제책에서 전세자금대출만 규제의 칼날을 빗겨난 것도 전세대출 수요를 늘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8·2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주요지역과 경기 과천, 세종 등 투기지역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40%에 묶였지만, 전세자금의 경우 총액의 80%까지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에서도 전세자금 대출은 원리금이 아닌 이자만 산정합니다.

실제로 4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전월 대비 증가 폭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2천억∼5천억원 선이었지만, 8·2 대책이 나온 뒤인 지난해 9월과 11월, 12월에 이어 올해 1월 모두 1조원을 웃돌았습니다.

직장인 성모(33)씨는 "전셋값이 내렸다는 기사는 봤지만 체감가격은 여전히 비싸다"며 "차라리 집을 살까 싶기도 하지만 대출 규제 때문에 이마저도 여의치가 않아 또다시 전세를 찾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