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 12월 충북 제천 화재 이후 정부는 특단의 대책을 통해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한 달이 조금 지난 시점에서 또다시 대형 인명 피해가 일어났습니다. 정치권의 약속도 소방당국의 일제 점검도 참사를 막지는 못했습니다.
김흥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21일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참사는 29명의 사망자와 40명의 부상자를 냈습니다.
40명이 숨진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 이후 9년 만의 최악의 화재 참사로 기록됐습니다.
소방 당국의 초동 대처 미흡과 건물주의 소방법 위반 등이 빚은 인재로 드러나면서 유족들은 세월호 때와 달라진 게 뭐냐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류건덕/제천 화재 유가족 대책위원장 (지난 10일) : 청해진이 건물주로, 해경이 소방관으로 바뀌었을 뿐입니다.]
정부는 특단의 대책 마련을 강조했습니다.
[이낙연 총리 (지난해 12월 24일) : 이번 일이 뼈아픈 교훈이 되도록 더 세밀하게 살피고 더 확실하게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정치권도 소방차의 현장 접근성 확보 등 소방 관련법의 조속한 처리를 약속했고 소방 당국도 다중 시설에 대한 일제 점검과 함께 초동 대처 능력을 높이기 위한 민관 합동 TF까지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지만 36일 만에 더 큰 참사가 재발했습니다.
[공하성/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일단 소방점검 했을 때 문제가 생기면 즉시 고치도록 선조치 후보고를 하는 형태로 소방점검 형태를 바꿔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켜켜이 쌓여온 안전불감증은 제천 화재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더욱 처참한 모습의 재앙으로 되풀이됐습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주용진, 영상편집 : 이정택)
▶ '제천 참사' 36일 만에…밀양서 병원 화재로 37명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