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MB, 문 대통령 '분노' 발언 후 침묵 기조…장기전 대비

MB, 문 대통령 '분노' 발언 후 침묵 기조…장기전 대비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과 주변 측근을 겨냥한 수사를 '정치보복'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이틀째 '침묵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전 대통령은 어제(18일) 자신의 측근들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분노' 발언에 대해 무대응을 지시했고, 오늘도 이런 기조를 이어가며 추이를 지켜보는 상황입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이 대통령에게 관련 보고를 드렸을 때 '일절 반응하지 말라'라고 지시를 한 상태라, 저희도 그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전 대통령은 이 일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장기전이 될 것이므로 일희일비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의중을 전했습니다.

현재의 검찰수사를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 성격으로 규정했던 이 전 대통령의 메시지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변 잡음'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로 읽힙니다.

그러나 여당이 제기한 김윤옥 여사의 국가정보원 돈의 사적 사용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어제 당 회의 석상에서 공개적으로 의혹을 제기했던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 등에 대해 조만간 명예훼손으로 고소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 전 대통령 측의 침묵 기조에도 불구하고 '장외'에서는 여전히 공방이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친이 직계로 불리는 조해진 전 새누리당 의원은 오늘 MBC 라디오에서 문 대통령이 "이명박 전 대통령이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직접 거론하며 정치보복 운운한 데 대해 분노의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한 데 우려를 표했습니다.

그는 "현 정권이 설정한 잣대에 따라 지난 정권을 공격하는 데 검찰이 총대를 멨다는 비난이 가중되는데, 현직 대통령이 그렇게 말씀하시면 그런 현상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전·현직 대통령 간의 정면충돌, 양 진영 간 충돌로 가는 것이 국정 운영이나 국민 통합을 앞장서 추진해야 할 대통령과 정부 입장에서 바람직하겠느냐는 걱정을 여권·정부 내부에서도 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친이계에서 이탈한 정두언 전 새누리당 의원은 오늘 CBS 라디오에서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알 수 없는 일들이 많이 벌어졌는데, 고비가 한 3번 있었다"며 "그걸 처리하는 과정에서 돈들이 필요하다"고 밝혀, 국정원 특수활동비가 선거 과정 뒷수습에 사용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