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영복 교수 쓴 '대통령기록관' 현판 교체과정 논란

신영복 교수 쓴 '대통령기록관' 현판 교체과정 논란
지난 정부에서 진보 진영의 석학 고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의 사상을 문제 삼아 그가 쓴 대통령기록관 현판을 교체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현판 교체 과정에서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 일부 위원들이 신 교수를 겨냥해 인신공격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기록관리혁신 TF'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는 2014년 10월 신 교수가 쓴 대통령기록관 현판을 떼어냈습니다.

이 현판은 2008년 기록관이 처음 문을 연 때부터 사용되던 것인데, 2013년 10월 한 민간단체가 이를 문제 삼는 민원을 제기하자 이듬해인 2014년 12월 현판을 교체한 것입니다.
고 신영복 교수가 쓴 대통령기록관 옛 현판(왼쪽)과 지금의 현판(오른쪽) (사진=국가기록관리 혁신 TF 제공)
TF는 "그 과정을 조사한 결과 1개 민간단체의 민원 제기였음에도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가 전례 없이 이를 안건으로 상정했다"며 "두 차례에 걸친 논의 과정 중 일부 위원이 신 교수에 대한 인신공격성 발언으로 현판 교체를 주장했다"며 위원회가 중립성 의무를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시의 정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 교수를 향한 일부 위원의 발언 수위는 상식 수준을 뛰어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 위원은 "대한민국 전복운동을 했다는 게 확실한 분의 글씨가 상징으로 쓰인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는 일인데 벌어졌다"며 "이 글씨를 가지고 우리가 자꾸 집착할 경우에 사실 이것은 감당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은 확실히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위원은 "신 교수가 전향서를 쓰긴 썼지만 최근 들어 몇 번 인터뷰에서 전향서를 쓴 내용에 대해 부정하고 나섰다"며 "거기에 대해서는 전향서 쓴 게 면죄부가 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위원도 "신 교수가 완전히 전향한 것 같지도 않고 그런 문제가 있는데, 이게 대통령기록관의 글씨가 됐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거들었습니다.

이 같은 논의가 두 차례에 걸쳐 이뤄지는 와중에 국가기록원은 안전행정부가 행정자치부로 명칭을 변경한 것과 맞물려 2014년 12월 대통령기록관의 현판을 지금의 것으로 교체했습니다.

TF는 이를 가리켜 "부서 명칭 변경에 따라 실무적 판단으로 국가기록원 CI 변경에 맞춰 현판을 교체했다"며 "이는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의 논의 과정을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