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다스 횡령' 비공개 BBK 특검, '한독 횡령'은 검찰에 통보

'다스 횡령' 비공개 BBK 특검, '한독 횡령'은 검찰에 통보
정호영 BBK 특별검사팀이 당시 수사 과정에서 포착한 ㈜한독산학협동단지 임직원들의 횡령 의혹은 다스의 '120억 원 횡령' 부분과 달리 언론에 공개하고 검찰에도 정식 통보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앞서 정 전 특검팀은 다스의 회삿돈 횡령이 수사 도중 발견된 여직원의 '개인 비리'로 최종 판단돼 수사 결과 발표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특검의 수사 대상은 특검법에 정해져 있는 만큼 일반적 수사권이 없는 특검으로선 더 수사하기가 어려워 당시까지 파악한 내용을 검찰에 인계했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한독 횡령 역시 이 전 대통령과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 별도 혐의점이라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됩니다.

정 전 특검팀은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인 2002년 외국 기업에만 분양할 수 있는 서울 상암 DMC 부지를 한독에 분양해주는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수사했습니다.

당시 특검은 이 전 대통령의 관여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지만, 한독 임원들이 회삿돈 수십억 원을 횡령한 별도 혐의를 포착해 언론에 발표하고 검찰에 통보했습니다.

이후 서울서부지검은 추가 수사를 통해 한독 임원들을 50억 원대 횡령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 2011년 유죄가 확정됐습니다.

이는 정 전 특검팀이 비슷한 시기 확인한 다스 횡령 의혹과는 다른 처분 결과입니다.

이 전 대통령이 다스를 차명 소유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쫓던 특검팀은 다스 여직원이 약 120억 원을 횡령한 별도 정황을 포착했지만, 한독 건과 달리 이를 수사 결과 발표에서 제외하고 일반에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정 전 특검 측은 검찰에 수사 기록을 인계하는 등 필요한 경우 검찰이 추가 수사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지만, 임채진 전 검찰총장 등 당시 검찰 수뇌부와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수사팀은 기록만 넘겨받았을 뿐 다스 횡령 건은 정식으로 이첩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시 특검팀은 크게 BBK 관련 의혹, 다스 실소유 의혹, 상암DMC 특혜 분양 의혹, 검찰 회유 의혹 등으로 업무를 나눠 4개 팀 체제로 운영됐습니다.

이번 한독 사건은 DMC 의혹을 수사했던 3팀 소관으로, 한독은 특혜 분양 의혹이 제기돼 수사 대상이 됐습니다.

서울동부지검에 꾸려진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사건 수사팀'은 조만간 당시 특검 관계자들을 상대로 시민단체가 고발한 특검팀의 직무유기 혐의를 조사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