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CES 굴기'…로봇 전시관은 절반 이상 차지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가 점차 중국판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CES 주최 측에 따르면 4천500여 개 기업이 참여한 이번 전시회에서 중국 기업은 1천400개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500개 이상이 중국의 IT 허브로 불리는 '선전'지역에서 온 기업들입니다.

이번 CES에서 가장 눈길을 끈 중국 기업 제품은 전기차 스타트 업인 바이튼인데, 중국의 전기차 회사 '퓨처 모빌리티'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내년에 중국에서 첫 상용 전기차를 출시합니다. 1회 충전에 520㎞ 주행이 가능하고 곡면 디스플레이에 제스처·얼굴·감정 인식이 가능한 AI 기능을 갖췄습니다.

이 차량의 가격은 4만 5천 달러, 우리 돈 4천8백만 원이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종 급인 테슬라 X에 비해 40%가량 저렴합니다.

'중국의 구글'로 불리는 바이두도 이번 CES에서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운영체제 '아폴로 2.0'을 탑재한 차량을 공개했습니다.

또 칩 메이커 엔비디아와 합작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자동차나 TV뿐 아니라 AI와 로봇 등에서도 중국의 약진은 두드러집니다. 로봇관에 차려진 중국 부스는 20개로 전체 참가기업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반면 한국은 3개뿐이었습니다.

중국 기업의 CES 굴기는 중국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 때문으로 보입니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의 살인적인 공기 오염에 대처한다는 명분으로 중국 전기차 업체들에 대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산업용 로봇 판매를 15만 대로 확대하고 3개 이상의 글로벌 선두 업체를 키우겠다면서 AI 로봇 관련 업체들에 여러 혜택과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미국을 앞지르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