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북, 오전 10시 판문점서 고위급회담…北 평창참가 우선 논의

남북, 오전 10시 판문점서 고위급회담…北 평창참가 우선 논의
남북이 오늘(9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고위급회담을 개최합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처음이자 2년 1개월 만에 열리는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및 남북관계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입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한 우리 측 대표단 5명은 오전 7시 30분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출발해 회담장인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으로 향합니다.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이끄는 북측 대표단 5명은 오전 9시 30분쯤 군사분계선을 넘어 도보로 회담장으로 이동할 예정입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대표단은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회담에 들어갈 계획"이라며 "회담 종료 시각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남측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된 사안을 우선 논의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와 관련, 개회식 공동입장이 성사될지 주목됩니다.

남북은 2000년 시드니 하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07년 창춘 동계아시안게임까지 아홉 차례나 종합대회 개막식에서 나란히 입장해 이번에도 성사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번에 공동입장이 성사되면 창춘 동계아시안게임 이후 11년 만이자 10번째입니다.

선수단이 어떤 경로를 통해 입국할지도 주목됩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 선수단의 육로 방남을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남쪽에서 열린 스포츠대회에 북한 선수단이 육로를 통해 들어온 적은 없습니다.

다만, 이를 위해선 군부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북측이 선수단 외에 응원단이나 예술단 등을 대표단으로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밝힐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대표단장으로 누가 내려올지도 관심사입니다.

남측은 북한 대표단의 숙소 및 교통편 등을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는 대북제재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대북제재 위반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히 살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평창올림픽 관련 협의가 마무리되면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남측은 지난해 7월 북한에 제의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한 우발적 충돌방지를 논의하기 위한 군사당국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협의할 적십자회담 개최 문제를 다시 제기할 계획입니다.

북한은 한미연합훈련 중단, 미국 전략자산 전개 중지 등을 거듭 주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 등도 언급할 수 있지만, 우리 정부는 북핵 문제에 진전이 없는 한 대규모 경협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남측은 북핵 문제도 거론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상호 관심사를 논의하자고 했는데, 우리의 관심사에 북핵 문제가 당연히 포함된다"고 말해 우리가 이 문제를 외면하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회담에서 평창올림픽 참가 및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큰 틀의 합의만 이룬 뒤 분야별 후속회담을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