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북 고위급회담 D-1…'평창' 넘어 '평화' 전환 기틀닦나

남북 고위급회담 D-1…'평창' 넘어 '평화' 전환 기틀닦나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남북 당국간 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남북 당국이 회담장에서 마주 앉는 것은 2년여만이다.

9일로 예정된 남북 고위급 당국회담은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가 주된 의제지만 남북관계 개선 방안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전망입니다.

북한의 연이은 도발과 이에 대응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반복되며 끊임없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던 한반도 정세가 이번 회담을 계기로 바뀔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시선이 한반도에 모이는 이유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남북회담을 100% 지지한다면서 "그들이 올림픽을 넘어서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회담 개최를 논의하는 것만으로도 한반도의 분위기는 사뭇 달라진 느낌입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환영 메시지에 이어 회담 제안과 수용, 대표단 명단 교환까지, 회담 준비 전 과정이 전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일사천리로 진행돼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8일 "남북 정상의 강한 의지가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어려운 일"이라며 "이런 분위기가 회담장으로까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습니다.

회담에서는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문제가 우선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수단 입국 경로와 개·폐회식 공동입장 등이 주요 의제로, 이에 대해선 남북이 크게 부딪칠 일이 없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입니다.

다만 우리 정부는 북한 선수단의 육로 방남을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를 위해선 군부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파견 용의를 밝힌 '대표단'이 어떤 성격일지도 관심입니다.

응원단이나 예술단 등을 보낼 가능성이 있는데, 대표단장으로 혹은 대표단과 별개로 정치적 인물이 내려올 수도 있습니다.

의제가 '평창'에서 '남북관계 개선'으로 넘어가면 진전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7월 제의했던 군사당국회담 및 이산가족 상봉행사 개최를 위한 적십자회담 개최 문제를 다시 제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8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남북관계 개선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산가족 문제라든가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문제 등을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측은 단골 이슈인 한미연합훈련 중단, 미국 전략자산 전개 중지 등을 주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 등도 언급할 수 있지만, 이는 대북 제재로 진전이 불가능한 사안들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