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유엔대사, '핵버튼 트윗' 옹호…"김정은 거만해지지 않게"

새해 벽두부터 논란을 일으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른바 '핵 버튼 트윗'을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것보다 크기가 더 크고 실제 작동하는 핵 버튼이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이 미국의 외교 정책과 미국 대통령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다는 야당과 언론의 비판을 선봉에서 맞서 대항하는 모습이다.

헤일리 대사는 7일(현지시간)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이 책상 위에 핵 버튼을 가지고 있고 미국을 파괴할 수 있다고 극적으로 과장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도 너희를 파괴할 수 있으니 매우 주의하고 언행을 조심하라고 북한을 항상 상기시키길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핵 버튼 트윗이 좋은 아이디어였다고 보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대통령은 항상 김정은이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면서 "김정은이 핵전쟁을 시작한다면 어떤 일이 생길지 실체를 깨닫지 못할 만큼 너무 거만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극단적 상황이 생기면 파괴되는 쪽은 미국이 아니라 북한이라는 현실을 김정은에게 상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다른 나라 외교관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트윗들에 이제는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그들은 미국이 무엇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우리와 어떻게 협력할지에 대해 더욱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면서 "그게 나쁜 일은 아니다. 정말로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헤일리 대사는 남북 고위급 대화 전망과 관련해 "두 나라가 원한다면 대화할 수 있다. 그들은 올림픽에 대해 대화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그 두 나라는 잘 지내야 한다. 그들이 적어도 대화로 복귀하기 시작할 수 있는 것은 미국에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핵 버튼 트윗'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정신 이상 논란을 야기한 계기로 작용했던 마이클 울프의 저서 '화염과 분노'를 강하게 비판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정신건강이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반박했다.

울프는 이 책을 통해 고위 참모들이 트럼프가 대통령직을 수행할만한 정신상태를 갖췄는지에 의구심을 품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헤일리 대사는 "백악관 사람들을 안다. 일주일에 한 번씩 백악관에 간다. 그 사람들은 조국을 사랑하고 대통령을 존경한다"면서 "나는 그 사람들이 그런 종류의 악의적인 말을 하는 것을 결코 들은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백악관의) 누구도 대통령의 (정신적)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헤일리 대사는 또 트럼프 대통령과 일주일에 몇 차례씩 대화를 나누고 일을 함께한다고 소개하고 "그는 우연히 대통령이 된 게 아니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