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AI 포천 북상…피해 컸던 충북 "올해는 막는다" 방역 강화

AI 포천 북상…피해 컸던 충북 "올해는 막는다" 방역 강화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경기도까지 북상하고 인접한 충남 천안의 야생조류 분변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되자 해마다 AI로 큰 피해를 봤던 충북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겨울철 오리 사육 휴지기제를 도입한 데 이어 외지 계란 반입 규제를 강화하는 등 강도 높은 방역대책을 내놓으며 올해는 AI를 철저히 방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6일 충북도에 따르면 전북과 전남의 오리 사육농가에 집중됐던 AI가 지난 4일 경기도 포천 산란계 농장에서도 발생,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충북과 인접한 충남 천안에서는 지난달 31일을 비롯해 네 차례에 걸쳐 곡교천, 풍세천의 야생조류 분변에서 AI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이 때문에 최근 몇 년 동안 겨울철마다 AI로 홍역을 치렀던 충북은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충북에서는 4년 전인 2014년 AI가 퍼져 180만 마리를 살처분 이후 매년 겨울 연례행사처럼 AI가 발생했다.

2016년 11월에는 전국 처음으로 음성에서 AI가 발생한 이래 지난해 2월까지 무려 392만 마리의 오리와 닭이 살처분돼 'AI의 진앙'이라는 오명까지 얻었다.

도는 이런 상황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겨울철에 오리 사육 중단 농가에 보상금을 지원하는 AI휴지기제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번 겨울 86개 농가에서 91만 마리의 오리를 키우지 않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일찌감치 도내 모든 시·군에서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모두 24곳의 거점 소독소를 운영하고 있다.

100마리 미만의 오리를 키우는 소규모 농가는 오리 도태를 유도했다.

아직 충북에서 AI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전국으로 확산하는 추세를 보면 안심할 수 없다고 판단한 충북도는 포천 산란계 농장에서 AI가 발생하자 추가 방역대책을 마련했다.

AI가 발생, 방역대에 편입된 인접 지역에서 생산되는 가금류와 알의 도내 반입을 제한하기로 했다.

가금류 이동 승인서 발급, 도축용 가금류 전수검사, 부화장 반입 계란의 생산 농가 확인 조치도 취했다.

또 무등록 계란 수집 차량의 농장 출입도 막기 위해 농가 주변 폐쇄회로(CC)TV로 감시하고 있다.

계란 운반용 파레트의 농장간 혼용을 금지하고 계란 반출은 주2회로 제한했다.

충북과 생활권이 밀접한 지역에서 AI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계란 임시 집하장을 운영하는 방안도 세웠다.

도 관계자는 "농가들은 불편하겠지만 추가 방역 대책은 AI를 차단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