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링클러·탈출구 없어…문제 많은 '필로티 건물'

<앵커>

2년 전 의정부 화재 참사 때처럼 이번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건의 피해가 컸던 건 필로티 형식의 건물 구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살펴보니 불이 났을 때 대형 참사로 이어지기 쉬운 문제점들이 많았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화재 참사가 발생한 제천 건물과 같은 필로티 구조는 불이 났을 때 '거대한 아궁이'가 될 수 있습니다.   

1층에 주차된 자동차들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고 1층 외부의 공기가 출입문을 통해 유입되며 유독가스가 빠르게 건물 안으로 퍼지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초기 진압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현장을 점검해보니 대부분의 필로티 천장에는 스프링클러가 없었습니다.

[홍성국/소방기술사 : (소방법상) 연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필로티 구조엔 전부 스프링클러가 배제됐습니다.]

그나마 있는 소방시설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거나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누구든지 화재가 발생하면 즉시 열어서 사용할 수 있어야 되는데 열 수 없게끔 장애물들이 설치돼 있어서….]

불이 났을 때 탈출구가 마땅치 않은 경우도 문제입니다.

이런 필로티 형식의 건물에서 화재가 나면 연기가 이렇게 1층 출입구로 유입되는데요, 문제는 대부분의 필로티 건물들은 이곳 외에 별도의 비상구가 설치돼 있지 않습니다.

[최돈묵/가천대 소방공학과 교수 :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연기가 들어온다든가 화염이 들어오는 쪽으로 피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양방향 피난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반대편 쪽에 별도의 피난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추운 겨울 필로티 천장 안쪽의 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스티로폼 같은 가연성 보온재를 넣어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화재 발생 시 대형 참사로 이어지기 쉬운 필로티 건물들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취재 : 임동국, 영상편집 : 장현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