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심사 결과 조작하고 사업 없애고…블랙리스트 피해 2천여 건

<앵커>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조사헸더니 피해 사례가 특검과 감사원이 밝힌 것보다 6배나 많았습니다. 지원을 배제한 방법도 가지각색이었습니다.

조지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박근혜 정부 때 작성된 창작음악 지원사업 문건에는 B, 전주, 성남 등이 표기돼 있습니다.

B는 청와대를 뜻하는데 당시 야권 단체장이 있는 곳을 청와대 지시로 지원에서 제외했다는 겁니다.

문학작품 해외 번역사업 심사표입니다. 심사위원들은 적격 판정을 했는데, 결과표에는 부적격으로 변경됐습니다. 심사평에 없었던 수출경쟁력이 낮다는 이유까지 더해졌습니다.

장강명의 '한국이 싫어서' 등이 이런 심사표 위조를 거쳐 지원에서 배제됐습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극단이 뉴욕문화원 공연 사업에 선정되자 사업 자체를 없애버리기도 했습니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가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기 관련 문서를 분석한 결과 블랙리스트에 오른 인물은 만 천여 명입니다.

지원에서 배제되는 등 피해를 입은 사례는 2,670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송경동/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 간사 : (블랙리스트가) 지원사업에서의 배제만이 아니라 표현의 자유, 예술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검열의 형태로 체계적으로 작동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진상조사위는 대통령기록관에 묶여 있는 자료들이 모두 공개돼야 블랙리스트의 전모를 밝힐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 영상편집 : 이재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