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에 찌든 한국인…휴가 年5.9일 '찔끔' 6년 전보다 1.6일↓

일에 찌든 한국인…휴가 年5.9일 '찔끔' 6년 전보다 1.6일↓
한국인의 휴가가 1년에 1주일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5일) 공개한 '2017 일·가정 양립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15세 이상 전국 거주자를 상대로 작년 9∼10월에 과거 1년간 휴가를 사용한 기간을 조사한 결과, 평균 5.9일로 집계됐습니다.

공휴일은 휴가 일수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평균 휴가 일수는 2010년 조사 때는 7.5일이었는데 이와 비교하면 1.6일 감소했습니다.

2012년 조사 때는 5.1일, 2014년 조사 때는 6.0일이었습니다.

2016년 조사에서 휴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64.2%였습니다.

작년 기준 15세 이상 국민의 하루 평균 여가는 평일이 3시간 6분, 휴일이 5시간으로 2014년보다 각각 30분, 48분 줄었습니다.

평균 근로 시간은 소폭 감소하는데 그쳤습니다.

작년에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총 근로시간은 176시간 54분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1시간 30분, 10년 전과 비교하면 14시간 18분 감소했습니다.

월평균 근로시간 중 초과근무는 12시간 42분이었습니다.

1년 전보다 6분, 10년 전보다 4시간 24분 줄었습니다.

하지만 상용근로자 99명 이하의 소규모의 업체에서는 평균 초과근무 시간이 오히려 늘었습니다.

5∼9인 사업장은 4시간 30분, 10∼99인 사업장은 10시간 24분, 30∼99인은 사업장 17시간 24분으로 월평균 초과근무 시간이 2015년보다 각각 6분, 30분, 36분씩 증가했습니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같은 기간 2015년 15시간 24분에서 2016년 13시간 42분으로 초과근무 시간이 감소했습니다.

취업자의 2016년 주당 평균 근로 시간은 43시간으로 2015년보다 36분 줄었습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작년 10월 기준 남자는 일주일에 평균 45시간 54분, 여자는 40시간 12분 일했습니다.

맞벌이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남편의 근로 시간은 46시간 12분으로 따로 사는 경우(43시간 42분)보다 길었습니다.

반면 아내의 경우 부부가 함께 살 때의 근로 시간은 40시간 6분으로 별거하는 경우(41시간 6분)보다 짧았습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의 남녀 일주일 평균 근로 시간은 42시간 30분으로 맞벌이를 하지 않는 가구의 부양자 평균 근무시간 46시간 24분보다 짧았습니다.

올해 취업 경험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일과 가정생활 중 어느 것을 우선시하는지 조사한 결과 일이 우선이라는 응답이 43.1%, 가정생활이 우선이라는 반응이 13.9%였습니다.

2년 전 조사에서는 일 우선이 53.7%, 가정 우선이 11.9%였습니다.

시차출퇴근제를 비롯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는 제도 중 하나인 유연근로제도를 한 가지라도 도입한 사업체 비율은 올해 기준 37.1%로 작년보다 15.2%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