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ICBM 美 본토 도달 상정했나…한·미·일 미사일경보훈련 '변화'

北 ICBM 美 본토 도달 상정했나…한·미·일 미사일경보훈련 '변화'
한미일 3국이 오늘(11일) 돌입한 북한 탄도탄 탐지추적을 위한 '미사일경보훈련'이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진행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내일까지 실시되는 이번 훈련에는 우리 이지스 구축함 서애류성룡함을 비롯해 미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 스테덤(Stethem)함과 디카터(Decatur)함, 일본 해상자위대의 이지스 구축함 초카이(Chokai)함 등 총 4척이 투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서애유성룡함은 우리나라 동해상에서, 미국과 일본 함정 각 1척은 일본 근해에서 각각 북한 미사일을 탐지·추적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게 됩니다.

3국은 지난해 6월과 11월에 이어 올해 1월, 3월, 10월 등 5차례에 걸쳐 이런 방식으로 훈련을 했습니다.

그러나 여섯 번째로 실시된 이번 훈련에서는 미국의 나머지 이지스함 1척은 미 본토 인근 태평양 해상에서 훈련에 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과 일본 근해에서 수천㎞ 이상 떨어진 해상에서 미 이지스함이 3국 미사일경보훈련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을 발사한지 12일 만에 실시되는 이번 3국 미사일경보훈련에서 미국 함정이 본토 인근 태평양 해상에서 참여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훈련이 가상의 모의 표적을 상정해 시뮬레이션으로 진행되는 만큼, 북한 ICBM이 미국 연안 또는 본토에 도달하는 상황을 상정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3국은 시뮬레이션으로 실시되는 이번 훈련의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할 것으로 보여 가상의 ICBM이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상황도 묘사할 것이란 추론도 제기됩니다.

더욱이 북한이 사거리 3천㎞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의 시제품을 완성해 발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도 염두에 뒀을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북한이 3천㎞ 이상의 북극성-3형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면 수중으로 은밀히 원거리를 이동하는 잠수함의 전략적 특성상 미 본토 연안까지 도달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3국의 미사일경보훈련은 실제 표적을 발사해 탐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북한 탄도탄을 모사한 가상의 모의 표적을 각국의 이지스 구축함이 탐지 및 추적하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군의 한 관계자는 "훈련에 참가하는 미국 함정의 위치를 우리 군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 "이번 훈련은 한미 안보협의회(SCM) 합의에 따라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