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짜 금융회사 앱' 깔았다간 돈·개인정보 다 털려"

"'가짜 금융회사 앱' 깔았다간 돈·개인정보 다 털려"
저금리 대환 대출 등을 미끼로 스마트폰에 가짜 금융회사 앱을 깔도록 해 돈을 가로채는 범죄가 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가짜 금융회사 앱을 설치토록 유도하는 사기범죄 신고는 올해 7월 32건에서 9월 63건, 11월 153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사기범은 금융회사를 사칭해 대출을 권유하는 전화를 건 뒤 전화통화를 하면서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을 보내 가짜 앱 설치를 유도하는 수법을 쓰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앱을 설치하면 나중에 금감원이나 금융회사의 전화번호로 확인전화를 걸어도 사기범에게 연결됩니다.

이후 사기범은 기존 대출금 상환, 공탁금, 법무사 비용, 보증보험료 등 명목으로 돈을 보내달라고 하는데 가짜 앱 '상담 신청'을 통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도 빼갑니다.

금감원은 일단 앱을 깔지 않는 게 피해를 예방하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메시지 인터넷 주소나 앱은 바로 삭제해야 합니다.

또 전화나 문자메시지로 대출을 권유받으면 일단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에서 제도권 금융회사 여부를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

금감원은 "앱을 깐 것 같다면 악성코드 감염 우려가 없는 유선전화 등으로 해당 금융회사 공식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 대출 관련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다"고 당부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