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출 잘나간다?' 수입분 빼면 성장률 깎아 먹어…반도체 착시 탓

'수출 잘나간다?' 수입분 빼면 성장률 깎아 먹어…반도체 착시 탓
수출 주도로 올해 3% 성장이 확실시되지만 수출에서 수입분을 뺀 순수출은 오히려 성장률을 깎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재 기세라면 순수출은 26년 만에 처음으로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순수출(수출-수입) 성장 기여도(원 계열 기준, 작년 동기대비)는 -0.9%포인트였습니다.

3분기 한국 경제는 1년 전에 견줘 3.8% 성장했는데 이 중 내수가 4.8%포인트 끌어올린 것을 순수출이 1%포인트 가까이 갉아먹었습니다.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올해 1분기 -1.9%포인트, 2분기 -2.3%포인트에 이어 3분기까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4분기 큰 폭의 플러스를 기록하지 않으면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연간으로도 마이너스가 됩니다.

이 경우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2015년(-1.0%포인트), 2016년(-0.7%포인트)에 이어 3년 연속 성장률 불효자로 기록됩니다.

수출에 의존해 성장한 한국 경제에서 순수출 성장기여도가 연속으로 마이너스였던 적은 많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3년 연속 마이너스였던 때는 1989∼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올해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호조인데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마이너스인 배경에는 반도체 수출 가격 상승이 있습니다.

성장기여도를 볼 때 수출은 가격 요인을 제거한 실질 기준 통계를 활용합니다.

수출 물량만 따진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흔히 말하는 수출은 관세청이 집계한 통관 기준 자료가 기반이며 여기에는 가격이 반영됩니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는 반도체 가격이 많이 올라서 (관세청이 집계하는) 통관 기준 수출이 좋게 나왔다"며 "성장기여도의 수출은 실질, 물량 기준이라 차이가 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최근 수출이 잘 된다는 것은 반도체 착시 현상"이라며 "반도체가 물량보다 가격에 의존하기 때문에 순수출은 마이너스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수출보다 수입이 많이 증가한 탓도 있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 관계자는 "수출도 잘되지만 수입이 더 많이 됐기 때문"이라며 "경기가 회복되면서 투자가 늘어나고 반도체 제조용 장비나 소비재 수입 등이 더 큰 폭으로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순수출 성장기여도 마이너스는 반도체 수출 증가세 뒤에 가려진 한국 경제 상황이 드러난 결과로도 보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여행 수지, 운송 수지도 영향을 많이 주는 요소인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때문에 올해 3월 이후 중국 단체 관광객이 줄고 해운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운송 서비스 수출이 좋지 않았던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