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내 화장(火葬) 비율 82.7%…22년 만에 4배로

보건복지부는 우리나라에서 매장이 아닌 화장으로 장례를 치르는 비율이 지난해 82.7%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1994년 화장률이 20.5%인 것과 비교하면 22년 만에 4배로 는 것입니다.

지난해 성별 화장률은 남성 85.4%, 여성 79.5%로, 남성이 높았습니다.

여성은 평균수명이 길어 고령으로 사망하는 비율이 높고, 고령자일수록 화장 대신 전통적 매장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연령별로는 20대 사망자의 경우 97.7%가 화장되는 등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5.3%에 이르렀으며, 60대 이상의 화장률은 79.8%였습니다.

시도별 화장률에서는 부산이 92.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인천 91.2%, 울산 90.2%, 경남 88.9% 등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습니다.

화장률이 낮은 지역은 제주 67.7%, 충남 68.2%, 경북 71.2%, 충북 71.4% 등이었습니다.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87.8%였으나 비수도권은 79.2%로 수도권이 8.5%포인트 높았습니다.

전국 시군구 기초지방자치단체 중에서 화장률이 높은 곳은 경남 통영시로 95.4%였고, 경남 사천시 94.9%, 부산 사하구 93.7% 순이었습니다.

이에 반해 충남 청양군은 화장률이 41.1%로 가장 낮았고, 경북 예천군 46.8%, 전남 장흥군 50.8%, 경북 영양군이 53.5% 등도 낮은 편이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화장률이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나는데 대해 "화장에 대한 주민의 인식, 지역 고유의 장례문화, 화장시설 접근성, 개인의 판단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2017년 10월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올해 3월 개원한 함안 하늘공원을 포함해 59개소이고 화장로는 346개입니다.

하지만 서울, 부산, 경기 등 화장수요보다 화장시설이 부족한 일부 지역에서는 화장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요금을 내야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