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과기정통부 "연구실 안전관리, 민간 주도로 바꾼다"

과기정통부 "연구실 안전관리, 민간 주도로 바꾼다"
그동안 정부가 주도해왔던 연구실 안전관리가 앞으로는 민간 주도로 바뀝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연구실 안전관리 인력인 '연구실안전관리사'를 2020년부터 선발하고, 2022년까지 연구자들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의 '대한민국 연구안전 2.0'을 마련하고, 제3차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에서 확정했다고 오늘(4일) 밝혔습니다.

작년 기준 전체 연구기관은 4천661개에 달하고, 여기 속한 연구실이 6만 9천119개인데 정부가 직접 안전관리 감독을 하기엔 인력과 예산에서 제약이 있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내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할 정책인 연구안전 2.0에는 연구 현장에서 자율적으로 안전관리를 맡도록 하고 이를 위해 민간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우선 연구자들이 연구실 내 '위해 인자'를 쉽게 알도록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을 2022년까지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연구기관에서 연구안전 분야를 전담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방안도 계획에 포함됐습니다.

국가전문자격으로 '연구실안전관리사'를 신설하고, 2020년부터 자격시험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연구안전 장비·보호구에 대한 안전기준과 인증절차도 2020년까지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규모가 작고 위험 요소가 적은 연구실의 경우 정부가 진행하던 안전관리 컨설팅을 2019년부터 민간 전문기업에 맡기기로 했으며, 연구실 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전문기관 설립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진규 1차관은 "대한민국 연구안전 2.0을 통해, 연구자들이 안전한 연구환경에서 마음 놓고 연구개발에 몰두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