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저금리 끝났다…한은,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 0.25%p 인상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됐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1.50%로 올렸습니다.

이로써 작년 6월 이후 17개월간 이어진 사상 최저금리 시대는 막을 내렸습니다.

금통위의 금리 인상은 2011년 6월 이후 6년 5개월 만입니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6월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방향 전환을 예고한 지 5개월 만입니다.

금융시장에서는 지난달 금통위에서 인상 소수의견이 나오자 이달 금리 인상을 사실상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금리 등에 선반영한 상태입니다.

이번 금리 인상 배경에는 최근 경기 회복세가 확실하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습니다.

한국 경제는 수출 급증에 힘입어 예상보다 훨씬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4%(속보치)를 기록했고 10월 이후에도 수출 증가세가 견조합니다.

이를 반영해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올려잡았습니다.

내년 성장률도 3.0%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잠재성장률(연 2.8∼2.9%)을 웃도는 수준으로, 이 총재가 금리인상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뚜렷한 성장세'에 부합한다는 평가입니다.

북한 리스크와 사드 갈등에 눌려있던 소비심리도 지난달 6년 11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하는 등 개선되는 분위기입니다.

북한 미사일 도발도 이번엔 한은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지 못했습니다.

반면 가계부채는 1천400조원을 돌파하며 위험수위를 넘었습니다.

그동안 초저금리로 인해 쌓인 부작용입니다.

대외적으로는 다음 달로 예상되는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도 금융불안 요인입니다.

신흥국인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낮으면 자본 이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높은 신인도 등으로 당장 자금이탈이 현실화되지는 않겠지만 늘 불안할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이제 관심은 내년에 얼마나 금리가 추가 인상될 것인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금융시장에서는 1∼2회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입니다.

반도체 등 일부 수출 대기업 위주 성장일 뿐 경기 회복의 '온기'가 퍼지지 않았는데 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면 산업 경쟁력 약화와 내수경기 타격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앞으로 경기 상황과 부동산 시장, 가계부채 흐름, 미 금리 인상 횟수 등이 추가 금리 인상에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