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롯데케미칼 세금환급 소송사기' 기준·허수영 前 사장 무죄

허수영 롯데그룹 화학BU장과 기준 전 롯데물산 사장이 정부를 상대로 세금환급 '소송 사기'를 벌인 혐의에 대해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다만 허 전 사장은 세무조사 담당 공무원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와 협력업체로부터 여행경비 등을 지원받은 혐의가 유죄로 인정돼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 25부는 오늘 허 전 사장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기 전 사장과 당시 재무담당 팀장이었던 김 모 전 롯데물산 재무이사에게는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허 전 사장과 기 전 사장이 허위 장부를 작성해 법인세를 부정하게 환급받은 혐의에 대해 "제출된 증거만으로는 범죄에 대한 증명이 충분하지 않다"며 무죄로 판단했습니다.

다만, 허 전 사장에 대해서는 "대기업을 운영하면서 준수해야 할 사회적 책임을 저버리고 세무조사 관련 공무원에게 뇌물을 제공했다"며 "이는 우리 사회 일반의 신뢰를 위반한 것"이라고 질타했습니다.

허 전 사장과 기 전 사장은 KP케미칼(현 롯데케미칼)에 재직하며 2006년 4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허위 자료를 근거로 법인세 환급 신청을 내 2008년에 법인세 207억 원을 돌려받은 혐의를 받습니다.

허 사장은 이후 추가 환급 신청을 통해 12억여 원을 더 돌려받은 혐의도 있습니다.

당시 KP케미칼은 장부상 기계 설비를 비롯한 고정자산이 천512억 원가량 남은 것으로 기록돼 있었지만 실제로는 분식회계에 의해 가공된 내용이었다고 검찰은 판단했습니다.

두 사람은 감 가상각비가 발생하는 고정자산을 보유하면 법인세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조작된 장부를 바로잡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밖에 허 전 사장은 세금 부정 환급 소송과 별도로 개별소비세 대상을 누락하는 수법으로 13억여 원의 세금을 포탈한 혐의로도 기소됐습니다.

또 재임 당시 국세청 출신인 세무법인 T사 대표 김 모 씨에게 세무조사 무마 청탁과 함께 수천만 원을 건넨 혐의와 협력업체에서 사업상 편의를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천만 원을 수수한 혐의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