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 총리 "북한 미사일, 교묘한 선택…한국 독자적 제재 검토 필요"

이 총리 "북한 미사일, 교묘한 선택…한국 독자적 제재 검토 필요"
이낙연 국무총리는 오늘(29일) 북한이 75일 만에 장거리 미사일 도발을 재개한 것과 관련해 "북한 나름의 교묘한 선택을 한 것 같다"며 "비행 거리가 미국 동부에 이를 정도임을 충분히 과시하면서 동시에 방향을 괌·하와이 쪽을 (향)하지 않고, 탄착 지역도 일본 열도를 넘어가지 않게 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총리는 오늘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북한이 능력을 과시하면서도 국제사회를 많이 자극하지 않겠다는 판단을 한 게 아닌가 싶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총리는 북한의 의도를 묻는 질문에는 "기본적으로 이 시기에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테러지원국 재지정,(그리고) 여러 신호에 응답이 없는 데 대한 반발도 있을 수 있고 능력을 과시해 다른 태도를 유도하려는 의도가 있지 않나 싶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는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이 완성을 향해 질주하는 단계에 와 있다. 비행 거리나 시간 모든 면에서 빠른 속도로 고도화하고 있다"며 "발사대와 미사일 간에 교신이 있는데, 이번 것은 교신이 중간에 끊어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북한 나름의 성공이라고 꼭 말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리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움직임 사전 감지와 관련해선 "2∼3일 전부터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는 정보를 한미간에 공유하고 준비했기에 발사 후 6분 만에 지·해·공 동시 탄착개념을 적용한 미사일 합동 정밀타격훈련을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리는 향후의 대응책에 대해 "미사일 도발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대화를 선택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면서 최대한 제재와 압박을 함께 해나갈 것이다. 어쩌면 필요한 만큼의 독자적 제재 검토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미국이 취하고 있는 제재가 있다. 그중에서 우리가 선택적으로 공조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주로 경제제재나 또 다른 것도 있을지 모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독자제재 발표 시기에 관해서는 "상황을 좀 보자. 어떤 조치를 하면 즉각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대북 대응과 관련해서는 "여러 옵션 중 하나로 군사적 옵션이 포함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정도 실행까지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고려해야 할 요소가 미국도 있을 것"이라며 "결정적인 행동을 할 때는 한국과 협의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서울에 왔을 때 직접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미국이 선제타격을 염두에 두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고 발언한 배경에 대해 "미사일의 고도화를 보면서 북한을 향해 경고 내지는 충고를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이런 상황이 올지 모르니까 북한이 잘 판단해 달라는 뜻"이라고 해석했습니다.

그는 남북대화 채널과 관련, "대화의 통로는 거의 다 막혀 있다. 서로 간에 전통문을 전달하는 정도만 있다는 게 맞다"면서 "대화가 실현될 수 있다면 당국 간 대화가 좋겠지만 어려우면 민간·경제 쪽 대화, 그리고 아직 불씨가 남아 있는 옛날 채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