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능일 지자체-경찰-소방 '핫라인'…포항에 비상 버스 240대 배치

수능일 지자체-경찰-소방 '핫라인'…포항에 비상 버스 240대 배치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인 모레(23일), 지자체와 경찰, 소방 간 '핫라인'을 운영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로 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수능 당일 건축물 안전진단 전문가를 포항 지역에 배치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포항 인근에 12개소 예비시험장을 준비했고 수능일 아침에는 240대의 비상수송 버스를 배치해 혹시 있을지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LH공사와 함께 이재민 숙소로 기존 160세대의 임대주택 외에도 50세대를 추가로 확보해 내일부터 입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주택 임대기간은 우선 6개월로 하되 지자체나 이재민이 임대기간 연장을 요청할 경우 이를 적극 검토할 방침입니다.

주택 피해가 추가로 속속 확인되면서 피해 규모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지진 피해를 본 사유시설은 9천70건으로 이 중 8천293건이 주택 피해였습니다.

지붕 파손이 7천570건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주택 '전파' 167건, '반파' 556건으로 잠정 파악됐으며 상가 피해는 665건, 공장은 112건이었습니다.

정부가 파손된 민간시설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응급조치를 한 경우는 8천146건으로 89.8%의 응급복구율을 보였습니다.

정부는 진앙 인근의 다가구·다세대 주택 등 우선 점검 대상 주택 1천229개에 대한 1단계 안전점검을 벌여 이 중 305개소에 대한 점검을 완료했습니다.

또 오늘부터 민간전문가 24명을 추가로 투입해 총 150명이 나머지 주택에 대한 안전점검에 나섭니다.

공공시설 피해는 617건으로 응급복구율은 93.8%를 보여 민간시설 복구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체 시설 응급복구율은 90.1%입니다.

피해 건물은 어제까지 5곳이 통제됐으나 현재는 포항시 흥해읍 대성아파트만 통제되고 있습니다.

대성아파트는 일부 기둥과 벽체가 무너져 주민이 대피한 상태입니다.

부상자는 소폭 늘어나 90명이 응급실을 찾았고 이 중 15명은 입원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부상자가 계속 늘어나는 데에는 가슴 통증 등 심리적 증상을 호소하는 주민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중대본은 전했습니다.

이재민 1천168명은 학교·복지시설 등 12개소에 분산 수용돼 있습니다.

전국에서 지진피해를 돕기 위한 의연금은 지난 16일부터 닷새간 64억 5천600만 원이 접수됐습니다.

포항 지진이 발생한 지난 15일부터 전국에서 찾아온 자원봉사자는 8천580명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