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전 안전 논란…지진에 대한 준비, 어느 정도 돼 있나?

<앵커>

경제부 손승욱 기자와 주요 경제 현안 알아보겠습니다. 포항지진 이후 원자력발전소 안전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기자>

이 지역은 양산단층이 있기 때문이죠. 학계에서는 지진 날 가능성이 높은 이른바 활성단층이라고 보고 있는데요, 이 양산 단층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양산단층은 경북 영덕에서 양산을 지나 부산에 이르는 영남지역 최대 단층입니다. 이 주변에는 양산 단층 외에도 여러 단층이 존재합니다.

이번 포항 지진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단층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이 양산단층대에는 크고 작은 단층이 많이 분포합니다.

그런데 바로 이 여러 단층 주변에 월성, 신월성 원전들과 고리, 신고리 원전들이 있습니다.

단층을 피해서 지어야 할 원자력 발전소가 단층 주변에 몰려 있게 된 것은 원전을 짓기 시작하던 1970년대에는 단층 혹은 활성단층에 대해 조사나 연구가 지금 수준에 못 미쳤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잘 몰랐거나, 위험할 수 있다는 확신이 없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대규모 중공업 단지가 있어 전기가 많이 필요했던 포항과 울산, 부산 주변 땅을 놓고 원자력 발전소 부지를 물색하기도 했다는 것도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

<앵커>

단층이 이렇게 많은 줄 알았더라면 한 번쯤은 고민을 해봤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말이죠. 그러면 내진설계는 정말 제대로 되어 있는 것일까요?

<기자>

현재 건설된 원전들은 규모 6.5에서 7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돼 있다는 게 한국수력원자력의 설명입니다.

대부분은 규모 6.5에 맞춰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24기의 원전이 있는데요, 이 가운데 지난해 12월 상업운전에 들어간 신고리 3호기만 규모 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게 설계돼 있습니다. 그 전에 지어진 나머지 23기는 규모 6.5 수준까지 견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공사재개가 결정된 신고리 5, 6호기의 경우에는 규모 7.4수준까지 견딜 수 있도록 지을 예정입니다.

<앵커>

그런데, 지진 빈도도 잦아지고 더 강한 지진도 올 수 있다는데 기준을 더 높여야 하는 것 아닙니까?

<기자>

한수원은 내년 6월까지 규모 7.0에도 견딜 수 있도록 원전들에 대한 보강 공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 전문가들은 내진 설계 기준이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박홍근/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우리나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대 지반가속도가 0.22g (대략 규모 6.5)라고 평가되고 있어요. 선진 여러 나라에 비해 충분히 안전하게는 설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의 상황은 다를 수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지질학계에서는 한반도가 지진 다발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고 지금까지 보다 더 강한 지진이 올 가능성이 커졌다는 예상도 있기 때문입니다.

[김영석/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 1년 남짓해서 (강한 지진이) 났기 때문에 앞으로도 비슷한 규모나 아니면 조금 더 큰 지진이 충분히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원자력안전위원회도 2021년까지 지진 인근 지역에 대한 정밀 지질 조사를 벌여 그 결과에 따라 필요 시 추가 내진 보강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