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소기업 월급 224만 원, 대기업 절반…20대가 은퇴세대보다 못 벌어

중소기업 월급 224만 원, 대기업 절반…20대가 은퇴세대보다 못 벌어
작년 중소기업 직원의 평균 소득은 대기업 직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대 이하 평균 소득은 60대 이상보다도 적었고, 남녀 간 차이는 1.6배에 달했습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종사자들은 평균 소득이 가장 낮았으며, 근속 기간도 가장 짧았습니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이 포함된 일자리별 소득 분포가 담긴 '2016년 기준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오늘(21일) 발표했습니다.

이 통계는 작년 기준 사회보험, 과세자료, 연금 등 행정자료 30종을 활용해 작성됐으며, 소득통계는 올해 처음 집계됐습니다.

집계 결과 작년 임금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281만원이었습니다.

소득순으로 나열해서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소득인 중위소득은 209만원입니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만∼250만원이 25.6%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85만∼150만원 16.5%, 85만원 미만 16.4%였습니다.

1천만원 이상은 1.7%였습니다.

기업 규모별 월평균 소득은 배 이상 격차가 났습니다.

대기업 근로자 평균 소득은 474만원으로, 중소기업 근로자 224만원의 2.12배였습니다.

중소기업 근로자 평균 소득은 각종 협회 등 비영리기업 근로자의 소득 308만원과 비교해도 더 작았습니다.

월 소득 1천만원 이상 비율은 대기업이 5.2%로 중소기업 1.1%의 5배 수준이었습니다.

대기업 근로자 연령대별 평균 소득은 50대가 630만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중소기업은 40대(265만원), 비영리기업은 50대(394만원)에서 가장 많은 소득을 벌었습니다.

종사자규모별 소득을 보면 300인 이상 기업체 근로자는 400만원, 50∼300인 미만은 268만원, 50인 미만은 203만원이었습니다.

성별 격차도 크게 벌어졌습니다.

남성의 월평균 소득은 327만원으로 여성 209만원의 1.6배에 달했습니다.

중위소득으로 비교하면 남성은 255만원, 여성은 166만원이었습니다.

연령대별 남녀 격차를 보면 50대에서 185만원으로 평균 소득 차이가 가장 컸고, 29세 이하는 15만원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월평균 소득은 은퇴 연령대 고령층보다도 적었습니다.

평균소득은 40대가 34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 318만원, 30대 306만원 순이었습니다.

60세 이상은 186만원, 29세 이하는 182만원이었습니다.

근속 기간이 길수록 소득은 늘어나 20년 이상 근속자 월평균 소득은 647만원이었습니다.

산업별로 봤을 때 월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업종은 금융 및 보험업으로 596만원이었습니다.

이어 전기·가스·증기 수도사업이 583만원,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390만원으로 벌이가 괜찮았습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은 137만원으로 수입이 가장 적었고,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도 월평균 167만원을 버는 데 그쳤습니다.

평균근속 기간은 숙박 및 음식점업 1.3년으로 가장 짧았으며, 건설업도 1.8년으로 길지 않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