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빚 투자' 늘면서 증권사 신용공여 한도 '간당간당'

최근 코스닥 활황으로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개미' 투자자들이 늘면서 신용공여한도가 거의 소진된 증권사들이 생겨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습니다.

일부는 한도 관리를 위해 주식담보대출이나 신용거래융자 등 개인들의 주식 '외상 거래'를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오늘(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DB금융투자(옛 동부증권)는 이달 초부터 투자자의 보유주식을 담보로 삼고 돈을 빌려주는 예탁증권담보융자(주식담보대출) 신규 설정을 중단했습니다.

증권사가 담보 없이 개인 투자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신용거래 융자는 가능하나 매일 금액 한도를 둬 일별 한도가 소진되면 그 이상은 내주지 않고 있습니다.

이 증권사가 주식담보대출을 중단한 것은 신용공여금액이 한도치에 가까워졌기 때문입니다.

현행 금융투자업 규정상 국내 증권사의 신용공여한도는 자기자본의 100%로, 자기자본 규모 이상으로 대출액을 늘릴 수 없습니다.

DB금융투자는 3분기 말까지 자기자본의 85% 수준이던 신용공여금액이 최근 급증했다고 전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매체에 "주식시장 활황으로 올해 초부터 신용공여액이 꾸준히 늘었는데 10월 들어서 증가세가 더 가팔라졌다"고 전했습니다.

유진투자증권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이 회사는 9월 말 신용거래융자와 주식담보대출 설정액이 6천400억원으로 자기자본의 92%에 달했는데 최근 들어 더 늘었습니다.

이에 지난 10일 주식담보대출과 신용거래융자 신규 설정을 모두 중단했고 신용거래융자만 14일부터 재개한 상태입니다.

유진투자증권 관계자는 매체에 "최근 주식시장 활황으로 신용공여 사용액이 급격히 증가해 한도 관리를 위해 증권담보대출을 중단했다"고 말했습니다.

자기자본 규모가 큰 대형사를 포함한 다른 증권사들은 아직 신용공여한도에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최근 증시 활황으로 신용거래융자가 급격히 늘면서 전반적인 신용공여액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시장의 신용거래융자 잔고 합계는 이달 초 처음으로 9조원을 넘긴 뒤 계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9월 말부터 신용융자 잔고가 증가하기 시작해 10월 중순쯤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9월 말 기준 신용공여금액이 자기자본의 42% 수준이어서 여유가 있는 상황입니다.

KB증권도 신용공여액이 10월 말 이후 코스닥 지수 상승과 함께 늘어나는 추세이나 아직 한도에 가까워지지는 않았습니다.

KB증권 관계자는 "신용공여액을 자체 한도의 80% 안팎으로 유지해왔는데 최근에 이 비율이 소폭 올랐다"고 연합뉴스에 설명했습니다.

교보증권은 주식담보대출에 큰 변동이 없으나 신용융자가 이달 들어 7%가량 늘었고 현대차투자증권도 신용융자 규모가 10월 말보다 4% 증가했다고 전했습니다.

하이투자증권은 작년 말 2천억원대 초반이던 신용융자와 주식담보대출 금액 규모가 지난달 말 3천300억원으로 60% 가까이 늘었습니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올해 들어 주식시장 활황이 이어지고 비대면 계좌개설 이벤트 효과가 더해지면서 신용융자와 주식담보대출 잔액이 꾸준히 증가했다"며 "다만 자기자본 대비 신용공여금 비율은 지난달 말 기준 50% 이하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매체에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