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WADA, 러시아 반도핑기구 자격정지 유지…러시아 평창행 '위기'

세계반도핑기구 WADA가 러시아반도핑기구 RUSADA의 자격 정지를 계속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출전하지 못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WADA는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이사회를 열어 RUSADA의 자격 정지 조처를 철회하지 않기로 했다.

WADA 규정준수검토위원회는 이사회에 절대 RUSADA의 자격 정지를 풀어선 안 된다고 권고했고, 이사회는 이를 수용했습니다.

WADA는 2015년 11월 러시아 육상계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도핑 조작을 적발한 뒤 러시아 약물 검사 기관인 RUSADA의 자격을 정지했습니다.

이런 결정은 일찌감치 예견됐습니다.

WADA 규정준수검토위원회는 RUSADA가 국제적인 반도핑 기준을 따르는지를 조사해 이에 못 미쳤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WADA는 2011∼2015년 30개 종목에서 러시아가 선수 1천 명의 도핑을 조작한 사실을 폭로한 캐나다 법학자 리처드 맥라렌의 보고서를 공개적으로 수용하라고 RUSADA에 지시했습니다.

또 RUSADA에 보관 중인 소변 샘플에 접근 권한을 러시아 정부가 반드시 승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는 두 가지 모두를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WADA가 RUSADA를 약물 검사 기관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 선수들은 국제육상경기연맹 주관 국제대회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 IPC 주관 패럴림픽에도 참가할 수 없습니다.

WADA의 러시아 제재가 이어짐에 따라 러시아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두고 국제올림픽위원회 IOC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IOC는 다음달 5일 스위스 로잔에서 집행위원회를 열어 러시아의 평창행 허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IOC 차원에서 러시아 전 종목 선수단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금지할지, 아니면 이번에도 종목별 국제경기단체 IF에 공을 넘길지가 관건입니다.

러시아의 도핑 스캔들이 불거진 뒤 IOC는 지난해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에서 러시아 선수들의 참가 여부를 국제경기단체의 재량에 맡겼습니다.

IAAF와 국제역도연맹 IWF는 각각 육상, 역도 종목에서 러시아 선수들의 리우올림픽 출전을 불허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