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타워크레인 10년 넘으면 정밀검사…20년 넘으면 '퇴출'

타워크레인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크레인의 안전검사 등 관리 의무가 대폭 강화되고 사용연한도 20년으로 제한됩니다.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는 오늘(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타워크레인 중대재해 예방대책'을 보고했습니다.

대책은 우선 타워크레인에 대한 안전검사 등 관리 의무가 연식에 비례해 강화되도록 했습니다.

10년 넘은 크레인은 주요 부위에 대한 정밀검사를 받아야 하고 15년 이상 된 것은 2년마다 비파괴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비파괴검사는 용접 부분 등 주요 부위에 초음파 등으로 균열을 찾는 것입니다.

10년이 안 된 크레인도 설치 시, 설치 후 6개월 단위로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크레인 사용연한은 원칙적으로 20년으로 제한되고 20년이 넘으면 부품을 분해해 분석하는 수준의 세부 정밀진단을 통과한 경우 일정 기간 사용이 연장됩니다.

정부는 등록된 모든 크레인을 대상으로 허위 연식 등록 여부를 확인해 허위 연식이 적발되면 크레인의 등록을 말소할 방침입니다.

타워크레인의 부품 인증제도 도입됩니다.

사고가 잦고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인증제를 도입해 비인증 부품 사용을 막을 방침입니다.

볼트와 핀 등 내력을 많이 받는 안전 관련 중요 부품은 내구연한이 정해집니다.

또 검사기관 평가제도를 도입해 자격 미달 시 퇴출하고, 부실검사가 적발된 검사기관은 영업정지 등 행정제재도 가할 예정입니다.

공사 주체별 안전관리 책임도 명확해집니다.

공사 원청의 작업감독자가 직접 크레인 설치·해체·상승 작업 시 탑승해 안전을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크레인 작업자와 조종사 간 신호업무를 전담하는 인력도 배치돼야 합니다.

크레인 임대업체는 장비의 위험요인과 작업 절차 등 안전 정보를 원청과 설치·해체업체에 서면으로 제공하고, 작업 시작 전 장비 특성 등에 따른 위험요인 등을 교육해야 합니다.

임대업체는 크레인 설치 및 운영과정의 위험요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기록장치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해체 업체에 대해서는 등록제가 시행되고, 작업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기술자격제도도 도입됩니다.

사고 발생 시 원청과 크레인 임대업체 등에 대한 처벌과 제재 수준도 단계별로 강화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개정 법령은 가급적 연내에 입법예고하고, 하위법령 개정은 내년 1분기 내에 완료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