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방세 고액·상습 체납자 공개…전두환 2년 연속 포함

지방세 고액·상습 체납자 공개…전두환 2년 연속 포함
1천만 원 이상 지방세를 체납일로부터 1년이 넘도록 내지 않은 신규 고액·상습 체납자 1만 941명(법인 포함)의 명단이 위택스(WeTax)와 각 시·도 홈페이지에 공개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공개한 명단은 1월 1일 기준 고액·상습 체납자로, 지난달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심의와 검증을 거쳐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일부를 납부해 체납액이 1천만 원 미만이거나 체납액의 30% 이상을 낸 경우, 그리고 불복 청구 중인 경우 등은 공개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15일) 새로 공개된 개인 8천24명이 체납한 지방세는 3천204억 2천400만 원이고, 법인 2천917곳이 내지 않은 지방세는 1천964억 2천900만 원입니다.

신규 공개된 체납액의 총액은 5천168억 원에 이릅니다.

지금까지 누적된 명단 공개 대상은 총 6만 2천668명이며 이들의 총 체납액은 4조 3천78억 원입니다.

행안부는 체납자의 이름과 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액 세목, 납부 기한, 체납 요지 등을 공개했습니다.

행안부는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제도는 직접적인 징수 효과뿐 아니라 간접적으로는 체납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이 5천770명으로 전체의 52.7%, 체납액으로는 3천172억 원으로 전체 액수의 61.4%를 차지했습니다.

체납 구간별로 따지면 1천만∼3천만 원 체납자가 6천760명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고 체납액은 24.6%인 1천269억 원에 달했습니다.

체납자의 업종은 서비스업이 13%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7.4%, 제조업 5.9%, 건설·건축업 5.2% 등의 순이었습니다.

또 50대가 36.5%로 가장 많았고 60대 24.9%·40대는 19.8% 였습니다.

행안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고액·상습 체납자에 대해 신용불량등록을 하고, 출국 금지 등 행정제재를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며 " '고액 체납자 특별전담반'을 운영해 은닉재산에 대한 추적을 강화하는 등 강력한 징수 활동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체납자가 세금탈루 등의 혐의가 있으면 압수수색 등을 통해 지방세 관련법 위반에 대해 엄중히 따질 방침입니다.

개인 부문 체납액 1위는 올해 새로 공개된 오문철 보해저축은행 전 대표가 차지했습니다.

현재 배임·횡령 혐의로 교도소 수감 중인 오 전 대표는 지방소득세 104억 6천400만 원을 내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개인 부문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던 조동만 전 한솔그룹 회장은 83억 9천300만 원 체납으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지방소득세 등 11건 8억 7천900만 원을 내지 않아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공개 대상이 됐습니다.

전 전 대통령은 2014∼2015년 아들 전재국·전재만씨 소유의 재산을 공매 처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지방소득세를 체납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생인 전경환 씨도 4억 2천200만 원을 내지 않아 이름이 공개됐고 다단계 사기범 주수도 전 제이유그룹 회장은 3억 8천400만 원을 체납했습니다.

나승렬 전 거평그룹 회장은 44억 7천600만 원,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은 49억 8천600만 원을 각각 체납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법인에서는 지난해에도 공개된 효성도시개발과 지에스건설(GS건설과는 무관한 업체)이 각각 192억 3천800만 원과 167억 3천500만 원을 안내 올해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 밖에 주수도가 대표로 있는 제이유개발이 113억 3천200만 원, 제이유네트워크가 109억 4천800만 원을 내지 않아 각각 법인 5위와 7위에 올랐습니다.

올해는 각 시·도별로 따로 발표한 지난해와 달리 '위택스'에서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을 통합해 공개해 종전보다 쉽게 이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개별 공개 대상자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체납액 납부 등에 대해서는 전국 시·군·구 세무부서에 문의하면 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