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진 전라병영성서 죽창 꽂은 함정 유적 64기 발견

강진 전라병영성서 죽창 꽂은 함정 유적 64기 발견
▲ 강진 전라병영성

조선시대 전라도와 제주도의 육군 지휘부였던 전남 강진 전라병영성에서 대나무 끝을 뾰족하게 깎은 죽창이 설치된 함정 유적 64기가 한꺼번에 출토됐습니다.

국내 성곽 방어시설에서 함정 유적이 대규모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문화재청은 강진군과 한울문화재연구원이 지난 4월부터 강진 전라병영성의 동쪽과 남쪽에서 발굴조사를 시행해 함정과 해자 유적을 찾아냈다고 오늘(15일) 밝혔습니다.

전라병영성의 남문 서쪽에서 발견된 함정은 해자 바깥쪽에 6∼8m 거리를 두고 2∼4열로 설치됐습니다.

지름은 3.5∼4.9m이고, 깊이는 최대 2.5m에 달합니다.

원뿔을 뒤집어 놓은 듯한 형태로,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데 함정의 바닥에서는 죽창을 촘촘하게 꽂았던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강진 전라병영성 함정(사진=한울문화재연구원 제공/연합뉴스)
해자 유적은 성의 동쪽과 남쪽에서 모두 확인됐습니다.

해자는 성벽에서 11∼17m 떨어진 지점에 설치됐으며, 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돌을 쌓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남문 옹성의 바깥쪽에는 해자를 건널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보이는 다리의 나무기둥 유적과 돌을 늘어놓은 석렬이 출토됐습니다.

또 해자 안에서는 나막신과 나무 말뚝, 도자기, 기와 조각 등 조선시대 유물이 발견됐습니다.

사적 제397호로 지정된 강진 전라병영성은 본래 광주광역시 광산현에 있었으나, 600년 전인 1417년 강진으로 이전했습니다.

1895년까지 약 500년 동안 육군 사령부로 기능했으며, 네덜란드인 하멜이 약 8년간 억류돼 있던 장소이기도 합니다.

(사진=한울문화재연구원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